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지난 2020년 6월 공개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장면.
통일부는 8일 북한이 지난 11월 말부터 훼손된 채 방치된 연락사무소 건물을 철거하는 동향이 파악됐다고 밝혔다.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는 지난 2018년 ‘판문점 선언’ 등 남북 합의에 따라 개성공단 내에 설치된 남북의 공식 소통창구로, 남북의 인원이 한 건물에 상주하는 첫 소통 창구이기도 했다.
북한은 폭파 이후 잔해도 정리하지 않은 채 이를 장기간 방치하다 지난 5월쯤부터 잔해를 정리하는 등 새로운 동향을 보이기 시작했다.
같은 기간 북한은 개성공단의 우리 측 공장의 설비와 버스 등을 무단으로 가동하는 동향을 순차적으로 늘려왔다.
통일부는 지난 5월에는 공단 내 10여개 공장이 무단 가동되는 것으로 파악했으나, 이날은 무단 가동되는 공장이 30여개로 늘었다고 밝혔다.
북한은 개성공단 무단 가동을 통해 생필품이나 기타 경공업제품 등을 생산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 공단을 야간에까지 ‘풀가동’하고 있는 동향도 포착됐는데, 이는 개성공단 가동이 북한의 경제 전반에 ‘플러스 요인’이 됐다는 뜻이기도 하다.
폭파 전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전경. (뉴스1 DB)
북한 외무성은 지난 2일 담화를 통해 “대조선 제재정책의 입안과 집행에 관여한 미국과 그 추종세력들의 인물들과 기관, 단체들에 대해 대응조치를 적용한다”라고 선언한 바 있다.
외무성은 이 ‘대응조치’의 근거로 ‘대응조치법’을 제시했는데, 이 법에는 대응조치의 구체적 내용으로 ‘북한 내 재산과 자금의 압수 또는 동결’이라는 조항이 명기돼 있다.
이에 따라 북한이 개성공단과 금강산의 우리 측 시설을 완전히 자산화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 바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이달 말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개성공단 및 금강산의 ‘재개발’과 관련한 조치를 결정해 이를 공표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제기한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