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영 스타트업 투자심사역(VC)·작가
해에 두 권씩 다이어리를 써온 지도 한참이다. 책장 한편에는 벌써 서른 권이 넘는 세월이 빼곡히 꽂혀 있다. 눈 덮인 주말 아침, 커피 한 잔과 함께 책상 앞에 앉는다. ‘2023.07∼12’ 꾹꾹 눌러쓴 라벨을 다이어리 귀퉁이에 붙이자 또 이렇게 한 해가 간다는 것이 조금은 실감이 난다. 남은 기간 ‘고작’ 2주. 몇 장 남지 않은 페이지를 넘겨 목록을 하나 만든다. 제목은 ‘셀프 송년회’.
한 계절을 정신없이 보냈다. 임무 하나를 완수하고 나면 그다음 임무가 있었고 또 그다음이 있었다. 며칠 밤을 새우다시피 하고 마침내 종지부를 찍은 날, 곧 쓰러질 것 같은 몸을 이끌고 향한 곳은 침대가 아닌 영화관이었다. 달콤한 팝콘 향, 전광판 가득 부산스러운 신작들. 생맥주 한 잔을 사 들고 일찌감치 자리를 잡았다. 영화는 별로였지만 중요하지 않았다. 영화가 아닌 ‘영화관’이, 이 체험이 그리웠다.
그 귀갓길, 문득 부아가 났다. 고작 이게, 왜 그립기까지 했는지. 나가기 싫은 모임은 나가고 의미 없는 ‘쇼츠’로 시간은 죽이면서 지척의 영화관은 왜 못 왔는지. 그래서 올해 남은 기간 동안만이라도 벼락치기 하듯 하고 싶었던 일들을 채워 넣기로 한 것이다. ‘매주 혼자 영화관 가기’를 1번으로 대중없는 소소한 욕심들이 목록을 채운다. 전반적으로 스스로에게 소홀했던 해였지만 이렇게나마 좋아하는 것들로 마무리를 하면 이 헛헛함이 조금은 메워질 테니까.
그 뒤 의식적으로 ‘밖에서 보기’를 연습한다. 지금은 세상의 전부 같지만 사실 대부분의 것들은 돌아보면 다 별게 아니라는 것. 이 시절의 일기는 그 감각을 불러온다. 그 외 업무가 맞지 않아 힘들었던 시절의 일기부터 매일 가족의 건강을 기도하며 잠 못 들던 시절의 일기까지. 지난 과오와 수치, 불행을 복기하다 보면 결국 남는 감정은 ‘감사’, 이 하나다.
언젠가 썼던 일기에 대한 일기. ‘한 해간의 다이어리 농사는 라벨을 붙이는 작업으로 갈무리한다. 시간이 지나 다시 열어 보면 잘 빚어진 담금주처럼 새로운 맛과 향을 품고 있다. 그때는 썼던 것이 꼭 쓰지만은 않고, 그때는 달았던 것이 꼭 달지만도 않다. 묵묵히 내 몫의 하루를 빚는다. 그거면 된다.’ 스스로 작은 욕심들은 돌보되, 큰 줄기로의 겸허함과 감사는 잊지 않는 것. 다가오는 새해, 어쩌면 다가올 모든 날을 관통하는 다짐인지도 모르겠다.
김지영 스타트업 투자심사역(VC)·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