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 등재 회사비율 5년만에 증가 “책임 안지고 권한만 누려” 지적
대기업 계열사 가운데 총수 일가가 이사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회사의 비율이 5년 만에 다시 늘었다. 총수 일가가 미등기 임원으로 재직한 곳도 5%를 넘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26일 공개한 ‘공시대상 기업집단 지배구조 현황 분석’에 따르면 올해 자산 5조 원 이상인 공시대상 기업집단에 속한 계열사 중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의 비율은 16.6%였다. 총수 있는 64개 집단의 2602개 계열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로 433개 계열사에 총수 일가 575명이 이사로 이름을 올리고 있었다. 전년보다 2.1%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이 비율은 2018년(21.8%) 이후 내리 감소했는데 5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전체 이사 중 총수 일가 비율(6.2%) 역시 5년 만에 올랐다.
지난해 공시대상 기업집단으로 새롭게 지정된 그룹에서 총수 일가가 이사인 회사가 많았다는 게 공정위 설명이다. 다만 2년 연속 분석대상인 집단 57개만 따로 살펴봐도 총수 일가가 이사로 등재된 회사 비율(14.6%)은 1년 전(14.5%)보다 올랐다. 특히 셀트리온은 계열사 9곳 중 8곳(88.9%)에 총수 일가가 이사로 재직해 비중이 가장 높았다. 이어 KG(74.2%), SM(64.3%) 등 순이었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