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초중고생 1명당 지방교육재정 교부금이 2032년 3039만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를 국회예산정책처의 장기재정전망에 대입해 추산한 결과, 지난해 초중고생 1명당 1207만 원이었던 교육교부금이 8년 뒤면 2.5배로 급증한다. 초중고 학령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국세에 연동된 교육교부금은 경제 규모가 커지면서 계속 늘어나기 때문이다.
초중고 교육을 담당하는 17개 시도교육청은 국세의 20.79%와 교육세를 자동으로 배정받는다. 교육교부금은 매년 늘어나 지난해 76조 원이었다. 이런 규모의 교육교부금을 교육청이 독점하면서 교육 재정의 배분은 왜곡되어 왔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초중고생 1명당 공교육비는 1만3746달러로 OECD 평균의 1.4배다. 대학생 1명당 공교육비가 OECD 평균의 3분의 1에 불과한 것과 비교된다. 초중고교에선 돈이 남아 적립금을 쌓아두는데 등록금까지 묶인 대학들은 빈사 상태에 이르렀다고 한다.
세입을 신경 쓰지 않고 쓰기만 하는 구조이다 보니 교육청의 곳간 관리는 허술하기 짝이 없다. 지난해 8월 감사원은 시도교육청이 입학 지원금, 코로나19 회복 지원금 등 현금 복지 지원 사업 예산으로 5년간 3조5000억 원을 지출했다고 지적했다. 예산 집행률이 낮아지자 교육감들이 현금을 나눠주기 시작한 탓이다. 그런데도 시도교육감들은 “경기 변동에 따라 교부금이 감소할 수 있다”는 논리로 교부금 제도 개선 논의를 거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