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ws1
“앞으로 30년 안에 일본 수도에서 대지진이 발생할 확률은 70%”
도시 괴담이 아니라 일본 내각부가 10년도 더 지난 2013년에 발표한 내용이다. 공표 당시를 기준으로 “향후 30년”이었으니, 사실상 추후 20년 사이의 이야기다. 새해 첫날 이시카와현을 강타한 규모 7.6의 지진으로 인한 피해가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기존에 예견된 ‘수도 직하 지진’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근거는 1700년대부터 분석한 8개의 대지진의 주기다. 겐로쿠 대지진(1703)부터 다이쇼 관동대지진(1923) 사이 약 220년 사이 총 8번의 대지진이 났다.
일부 전문가는 사이클 중에서도 전반기와 후반기 지진의 양상이 다르다고 지적한다. NHK에 따르면 전반기에는 비교적 지진 빈도가 적은 ‘평온기’, 후반기에는 빈도가 높은 ‘활동기’로 나뉜다. 실제로 8번의 지진 중 7번은 후반기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었다.
주목할 점은 이 8개의 지진이 해안가가 아닌 많은 사람이 살고 있는 지역 바로 아래 있는 지각판에서 발생해 큰 피해를 불러왔다는 점이다.
만약 현대에 수도 직하 지진이 발생한다면, 최악의 경우 2만3000명이 숨지고 약 95조 엔(약 886조 원) 규모의 경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2023년도 일본 국가 예산안의 83%에 해당하는 막대한 금액이다.
단 이 역시 2013년 기준 예상치이므로 20층 이상의 타워맨션이 다수 들어서고 상장기업 본사가 2만7000개나 몰려 있는 지금은 인명 및 재산 피해 규모가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지진은 결코 단일 재해로 끝나지 않는다. 쓰나미·홍수는 물론이고, 동시다발한 화재가 저기압과 만나 거대한 회오리 불기둥이 될 수도 있다. 대피 중 다수의 인원이 밀집돼 인파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며 폭설과 겹칠 경우 고립 등 또 다른 안전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 NHK는 이 재난의 연쇄를 ‘지옥도’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하지만 지진조사위원회가 세원 대책대로 내진, 불연화 설계를 도입하는 등 예방책을 세운다면 인명피해는 30%가량 줄일 수 있다.
닛테레는 가정에서 직접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전류로 인한 화재를 막기 위해, 강한 진동이 감지되면 전기를 차단하는 ‘감진 브레이커’ 등을 설치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2022년 기준 도내 감진 브레이커 설치율은 6%에 불과했지만 도쿄도는 2030년까지 25%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목표를 세웠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