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서울대병원서 연락한 의사도 부산대병원 출신이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 메디컬 리포트]

입력 | 2024-01-04 23:36:00


2015년 11월 개원한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 중환자실 50병상, 일반 병상 80개, 수술실 6개, 응급실 병상 12개, 외상 전용 소생실 2개 등을 갖춘 아시아 최대 규모의 외상센터다. 부산대병원 제공

새해 연초부터 일본 이시카와현 지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피습 등 사건 사고들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2일 부산 가덕도 신공항 부지에서 이 대표가 피습당하고, 헬기를 통해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에 이송됐을 때 필자는 2016년 6월 부산에 내려가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를 취재했던 기억이 떠올랐다.

2015년 11월 개원한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중환자실 50병상, 일반 병상 80개, 수술실 6개, 응급실 병상 12개, 외상 전용 소생실 2개 등을 갖춘 아시아 최대 규모의 외상센터다. 의사만 42명, 간호사는 157명에 달한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과거 국내에서 중증 외상 환자를 적절하게 치료하면 살릴 수 있었을 사망자 비율(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이 35%로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15∼20%인 것을 감안하면 2배에 가까운 수치였다. 이런 상황을 해소하고자 부산대병원과 아주대병원 등 전국 17곳에 외상센터가 생겼고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을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렸다. 취재 내용을 돌이켜 보면 부산대병원은 중증 외상으로 실려온 환자들을 최고의 의료진이 살려내는 모범적 사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였다.

이 대표는 다행히 흉기가 치명적인 경동맥을 비켜 나갔고, 피습 위치도 국내 최고 외상센터와 멀지 않아 빠르게 헬기 이송을 통해 응급치료를 받았다. 이 대표는 이후 가족들의 요청 등으로 서울대병원 중증외상센터로 이송됐다.

부산대병원 김영대 권역외상센터장은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를 통해 응급 수술이 필요해 수술을 권유했다”며 “이후 이 대표의 가족과 비서 등으로부터 서울대병원으로 이송을 원한다고 들었다. 일부 직원이 내경정맥 손상으로 응급 수술이 필요하다며 반대했지만 이송은 할 수 있는 상태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또 “더구나 서울대병원에서 연락한 외상외과 의사도 우리 병원에서 수년간 같이 근무해 믿을 수 있는 의료진이었기 때문에 가족들 요청에 동의했다”고 했다. 부산대병원에서도 수술을 할 수 있었지만 가족 요청에 따라 이송을 결정했다는 것이다. 민주당도 “이 대표가 보호자가 있는 서울에서 치료를 받는 게 더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후 이 대표는 부산에서 119 헬기를 탔고, 서울 도착 후 서울대병원까지 ‘달리는 중환자실(SMICU)’이라고 불리는 구급차를 탔다.

범부처 응급의료헬기 공동 운영에 관한 매뉴얼을 보면 출동 요청 및 출동과 관련해 ‘그 밖에 응급의료헬기 이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라는 내용이 있어서 의사의 판단하에 119 응급헬기 출동 요청을 할 수 있게 돼 있다. 김 센터장은 “진료 과정에서 누군가가 부산소방에 전화 한번 해달라는 얘기를 듣고 우리 의료진이 부산소방에 연락해 소방헬기가 뜨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가 헬기로 이송될 정도로 중증이었는지에 대해서도 의료계에선 헬기 이송 기준 매뉴얼에 관통상(머리, 목, 몸통, 몸통에 가까운 사지)이 있다는 점을 들어 해당된다는 의견과 그렇게 중증이었다면 부산대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게 맞았다는 의견이 나온다. 정확히 환자 상태를 모르는 이송 단계 상황이었던 만큼 중증 외상 환자로 간주해 SMICU에 태우는 것 자체는 문제가 없었다는 목소리도 있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병원 집도의는 4일 브리핑에서 “피습 당일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장과 서울대병원 중증외상센터 당직교수가 협의해 이송을 결정했다”며 전원 및 수술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됐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또 “자상의 크기는 1.4㎝가량이지만 목은 혈관, 신경, 식도, 기도 등 주요 부위가 몰려 있어서 얼마나 깊이 찔렸는지가 중요하다”며 “목 정맥 혈관 재건 수술은 난도가 높아 수술 성공을 장담하기 어려운 상태였다”고 덧붙였다.

환자 입장에서 가족 곁에서 치료받고 싶은 희망은 누구에게나 있다. 다만 이 대표의 이송이 부산대병원에서 치료하기 어려워 서울대병원으로 옮겼다거나, 부산대병원보다 서울대병원이 우수하다는 식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는 중증 외상으로 온 환자들을 선진국 수준으로 살려내는 국내에서 몇 안 되는 최고의 병원이기 때문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민주당이 지역 의료를 살리는 정책에 한층 더 노력해 주길 기대하며, 이 대표가 조속히 쾌유하길 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의사 likeda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