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카시트 안전띠, 단단히 채우시나요? [김도형 기자의 일편車심]

입력 | 2024-01-04 23:39:00


몇 년 전의 일이다. 경부고속도로가 올림픽대로와 서울 한남대교 쪽으로 갈라지는 길목을 막 지나온 참인데 앞서 달리던 차가 돌연히 멈춰 섰다. 길을 잘못 들어선 운전자의 너무나 위험한 행동이지만 이를 비난해 본들 별 소용이 없다. 당장의 사고를 피하는 빠른 대처가 중요할 따름이다.

김도형 기자

과속을 한 것도 아니고 브레이크를 세게 밟으면 추돌 전에 차를 세울 수 있을 법한 안전거리도 있었다. 하지만 그 순간 머릿속을 스친 것은 뒷좌석에 앉아 있는 두 아이였다. ‘급브레이크를 밟아도 아이들이 다치지 않을 정도로 카시트 안전띠를 잘 채워 놓았을까?’

다행히 비어 있던 옆 차로로 운전대를 돌리면서 위기는 잘 마무리됐다. 하지만 이날의 아찔한 경험은 아이를 카시트에 태우고 안전띠를 체결할 때마다 늘 다시 떠오르는 기억이 됐다. 사고는 물론이고 급정거 상황에서도 아이들의 작은 몸이 튕겨 나오지 않고 잘 고정될 수 있게, 늘 안전띠를 단단히 채워야 한다는 깨달음이다.

센서가 설치된 인체모형(더미)을 좌석에 앉히고 차량의 충돌안전성을 평가하는 시험이 국내외에서 일반화된 지 오래다. 그리고 이 시험에는 6세, 10세 어린이를 가정한 인체 모형을 이용하는 어린이 충돌안전성 평가도 포함된다.

최근에는 많은 차들이 준수한 어린이 충돌안전성을 보여주는데 여기에는 사실 정확한 카시트 장착과 빈틈없는 안전띠 착용이 기본 전제로 깔려 있다. 어린이 충돌안전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자세히 뜯어보면 일정한 힘을 가해서 안전띠의 처짐을 제거하라는 기준이 명시돼 있다. 카시트 안전띠를 단단하게 체결한 뒤에 시험하라는 것이다.

하지만 국내의 한 카시트·유아용품 기업에서는 카시트 구매 고객 가운데 약 절반이 안전띠를 제대로 채우지 않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내놓은 적이 있다. 탑승자의 양쪽 어깨와 골반을 잡아주는 5점식 안전띠를 너무 느슨하게 채우거나 한쪽 팔 혹은 두 팔이 빠진 채로 체결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카시트를 답답해하는 아이들의 저항에 한국의 운전자들이 쉽게 굴복하는 경향이 있다는 분석이 자연스레 따라붙는다. “해외에서는 아이가 아주 어릴 때부터 카시트와 안전띠만큼은 결코 양보할 수 없다는 점을 몸으로 느끼게 한다”는 것이 이 회사 대표의 얘기다.

차는 사람과 사물의 물리적 이동을 돕는 수단이다. 그리고 이 차에는 늘 ‘안전’이라는 타협할 수 없는 조건이 따라붙는다. 앞차를 추돌할 위험을 감지하면 차가 스스로 제동하는 기술처럼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능동적 안전’ 기술이 최근 적극 도입되는 이유다.

그럼에도 도로 위에는 기술만으로는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사고의 가능성이 늘 도사리고 있다. 그리고 예기치 못하게 일어나는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가장 중요한 장치는 여전히 안전띠다. 카시트를 쓰는 어린 승객을 태우는 운전자라면 새해에는 조금 더 꼼꼼하고 타협 없는 손길로 안전띠를 챙겨봐도 좋겠다.




김도형 기자 dod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