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권역별 소각장 확충사업 난항 동-서부권, 주민 반대로 답보 남-북부권도 당장 가동 어려워 市 “주민 의견 반영한 방안 마련”
생활폐기물 차량이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소각장에 폐기물을 버리고 있다. 이 소각장은 현재 기존 시설을 현대화하기 위한 기본계획 수립 등 행정절차를 진행 중이다. 인천시 제공
인천 서구 백석동 수도권매립지에 버릴 수 있는 생활폐기물 총량이 해마다 줄어드는 가운데 인천 광역소각장(자원순환센터) 건립 사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인천시가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추진 중인 인천의 4개 권역별 광역소각장 확충 사업이 기초단체와 지역 주민의 의견 대립으로 난항을 겪는 것이다.
10일 인천시에 따르면 시는 동부권(부평구·계양구), 서부권(중구·동구·옹진군), 남부권(미추홀구·연수구·남동구), 북부권(서구·강화군) 등 4개 권역별로 광역소각장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광역소각장 건립은 순탄치 않다. 가장 난항을 겪고 있는 지역은 동부권 소각장이다. 경기 부천시가 인천·서울과 함께 사용하는 광역소각장을 새로 지으려 했지만, 주민들의 반대로 지난해 3월 백지화되면서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차준택 인천 부평구청장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권역별 광역소각장 설치를 군·구가 맡는 것은 무리가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차 구청장의 이런 태도는 유정복 인천시장이 지난해 12월 기자간담회에서 “민선 7기 인천시가 급한 마음에 주도적으로 인천을 4개 권역으로 나눠 광역화를 추진했는데, 원칙적으로 사업(광역소각장) 주체는 군·구”라고 한 발언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부권 소각장도 입지선정위원회를 통해 예비 후보지 5곳을 선정했지만, 최근 인구가 크게 늘고 있는 영종 주민들은 “영종에만 예비후보지 5곳이 몰린 것은 문제가 있다”며 반발해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사업 추진이 원활한 남부권·북부권의 경우도 2026년 직매립 금지 시행 이전에 광역소각장을 가동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송도국제도시 내 기존 시설을 현대화하는 남부권 소각장의 경우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가 면제돼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중앙투자심사를 준비 중이다. 서구가 주도하는 북부권 소각장은 입지선정위원회를 6차례 열었으며 올해 5월까지 입지 후보지 타당성 조사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광역소각장 건립 사업이 이처럼 어려움을 겪으면서 2026년 이후 자칫 쓰레기 대란을 겪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2026년 직매립 금지가 시행될 경우 쓰레기를 직접 땅에 묻지 못하고 소각재만 메우는 방식으로 변경된다. 소각장이 부족하면 태우지도 못하고 땅에 묻지도 못하는 쓰레기 처리에 차질이 우려된다.
SL공사는 2026년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에 대비해 매년 2만∼3만 t씩 생활폐기물 허용치를 낮추고 있다. 공사 측은 수도권 생활폐기물 직매립 금지가 얼마 남지 않은 만큼 수도권 지자체들과 협력해 쓰레기 양을 조절하겠다는 입장이어서 광역소각장 건립 사업이 인천의 주요 현안이 됐다.
인천시는 그동안 추진해 온 4개 광역소각장 건립 사업와 관련해 군·구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주민 수용성을 높이는 새로운 계획을 이달 말 발표할 예정이다. 유정복 인천시장이 나서 광역소각장 건립과 관련해 향후 인천시 계획과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인천 기초단체별로 소각장을 갖추는 방안을 포함해 기존 권역별 광역소각장 틀에 얽매이지 않는 차원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현재 소각장 확충 사업이 부진한 지역의 주민 의견도 최대한 반영해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