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타르 대회 개막… 내달 11일 결승 1, 2회 대회 제패 뒤 준우승만 4회… ‘역대 최강 전력’으로 恨풀이 나서 옵타 “우승 확률 日 25%-韓 14%” 캡틴 손흥민, 마지막 대회일 수도
이번 대회에 나서는 대표팀이 한국 축구 역대 최강의 전력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최근 A매치 6연승의 상승세도 탔다. 국내 축구인들과 팬들의 아시안컵 우승에 대한 기대가 그 어느 때보다 높은 이유다.
한국 축구가 13일 카타르에서 개막한 아시안컵에서 64년 만의 우승에 도전한다. 황희찬과 손흥민 김민재 이강인(왼쪽부터)등 유럽 리그에서 뛰는 선수만 12명이 포함된 이번 대표팀은 한국 축구 역대 최강의 전력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은 15일 바레인과 조별리그 첫 경기를 치른다. 뉴시스·동아일보DB
대표팀 캡틴 손흥민의 ‘우승 열망’은 특히 남다르다. 올해 32세인 손흥민으로선 네 번째 출전하는 이번 대회가 마지막 아시안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처음 출전한 2011년엔 4강, 2015년엔 결승, 2019년엔 8강에서 고배를 들었다. 손흥민은 대표팀 막내로 나섰던 2011년 대회 조별리그 인도전에서 A매치 데뷔 골을 넣었는데, 한국 선수의 아시안컵 역대 최연소(18세 194일) 득점 기록으로 남아 있다.
한국 대표팀 사령탑 위르겐 클린스만 감독에겐 자신의 지도력을 평가받는 사실상의 첫 번째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월 대표팀 지휘봉을 잡은 클린스만 감독은 입국하면서 “당장은 아시안컵 우승이 목표”라고 밝혔다. 부임 후 5경기(3무 2패) 연속으로 승리하지 못하면서 축구 팬들의 비난이 거셌을 때도 그는 “아시안컵 결과로 평가받겠다”고 했다.
일본은 미토마 가오루(브라이턴), 구보 다케후사(레알 소시에다드), 엔도 와타루(리버풀) 등 유럽 리그에서 뛰는 선수만 20명이다. 베스트11 전력만 놓고 보면 한국이 더 낫다는 평가가 있지만 26명 전체의 ‘엔트리 파워’는 일본이 단연 앞선다. 베스트11만으로 결승전까지 7경기를 치르는 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일본의 전력이 좀 더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은 E조, 일본은 D조에 속했다. 두 팀 모두 조별리그를 1위로 통과하면 토너먼트 대진상 결승까지 올라야 만날 수 있다. 한국이 조 1위, 일본이 조 2위를 하면 16강에서 맞붙는다.
강홍구 기자 windup@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