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20대 55만명-60세 이상 60만명 ‘경제 심장’ 고령화에 업계 부담 커져
자동차 등에 들어가는 산업용 스프링을 만드는 A사는 직원 120명 가운데 절반이 60세 이상이다. 청년들이 오지 않아 정년이 넘은 직원들이 공장을 돌리고 있다. 회사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직원은 70세다. 직원들 평균 나이는 55세이고, 20대는 단 한 명도 없다.
‘경제의 심장’이라 불리는 제조업에서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들이 제조업 일자리를 기피하면서 60세 이상 제조업 취업자 수는 처음으로 20대를 앞질렀다. 국내총생산(GDP)의 약 30%를 만들어내는 제조업 현장이 늙어가며 기업의 부담이 커지고 산업 경쟁력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제조업에서 일하는 60세 이상은 1년 전보다 5만1000명(9.3%) 불어난 59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반면 20대 제조업 취업자 수는 2만7000명(4.7%) 줄어든 54만5000명이었다. 제조업 취업자에서 60세 이상이 20대보다 더 많아진 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이다.
“공장 직원 절반이 60세 이상”… 제조업 평균 43.5세 또 최고치
제조업 60세이상>20대
문화 인프라 부족한 생산 현장 기피… 2030 직원 3년새 반토막난 곳도
생산성 떨어지고 인건비 부담 커져… “청년층 선호 제조업 일자리 대책을”
문화 인프라 부족한 생산 현장 기피… 2030 직원 3년새 반토막난 곳도
생산성 떨어지고 인건비 부담 커져… “청년층 선호 제조업 일자리 대책을”
● 빨라지는 20대 제조업 이탈
강 씨는 회사가 수도권에 있어 그나마 사정이 나은 편이라고 설명한다. 충북의 B시멘트 제조사가 체감하는 고령화 속도는 더 빠르다. 지역에서 젊은 사람이 일하기 좋은 회사로 유명했던 이 회사는 3년 전만 해도 20, 30대 비율이 60%를 넘었다. 3년 만에 이 비율은 반 토막 났고 빈자리는 고령층이 채웠다. 현재 직원 140명 중 50여 명이 60세 이상이다. B사 관계자는 “지역 청년들은 죄다 수도권으로 떠나고 있다. 특히 제조업은 청년 일손이 씨가 마르고 있다”고 털어놨다.
생산직을 기피하는 사회 분위기에 더해 직업 환경 또한 제조업에서 20대가 이탈하는 배경으로 꼽힌다. 제조업 공장 대부분이 문화적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지역에 있어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을 중시하는 청년의 외면을 받는다는 것이다.
인천의 외국계 반도체 회사에서 생산직으로 일한 정모 씨(24)도 2년을 채우지 못하고 회사를 관뒀다. 정 씨는 “기숙사에서 지내며 3교대로 공장에 나갔다. 회사 근처에서 문화 생활이라는 걸 할 수 없는 환경이라 이렇게는 못 살겠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현재 그는 작은 카페를 차려 일하고 있다. 지난해 20대 제조업 취업자 수는 숙박·음식점업에 처음으로 추월당했다.
● 고령화로 기업 인건비 부담 ↑
고령화 속도가 빨라질수록 기업 입장에서는 인건비 등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앞서 “호봉급을 주는 회사가 많은 만큼 근로자가 고령화되면 인건비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생산성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모 씨(63)는 지난해까지 새시 공장에서 20∼30kg의 창틀을 옮기다가 건강이 나빠져 퇴직했다. 그는 “오랜 기간 쌓은 노하우로 현장을 지휘해야 할 60대가 20대가 할 법한 일까지 도맡고 있으니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이 씨가 다녔던 회사도 한국인 생산직은 모두 60세를 넘겼다. 회사는 지난해 결국 인력난 끝에 공장 한 곳의 문을 닫았다.
한요셉 한국개발연구원(KDI) 노동시장연구팀장은 “한국은 제조업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특히 높아 우려가 더 크다”며 “그간 각종 지원금을 투입했는데도 고령화 판도를 바꾸지 못한 만큼 청년들이 선호하는 제조업 일자리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새로운 대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세종=송혜미 기자 1am@donga.com
세종=이호 기자 number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