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뉴스1
한국은행은 올해 회사채 만기도래 규모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시장은 이를 원활히 소화할 전망이지만 기업의 차입 비용 증가는 불가피해 보인다.
18일 한은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국내 회사채는 46조5000억원(기업 수 221개)으로 역대 가장 큰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한은은 “저금리였던 2019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회사채는 연평균 44조원 발행했고 만기는 3~5년 수준”이라며 “이에 따라 올해 만기 도래 규모가 사상 최대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업종별로는 최근 업황이 부진한 건설과 석유화학, 부동산·임대업 등 취약 업종의 만기 도래 규모가 9조3000억원으로 지난해 7조2000억원 대비 증가하게 된다”면서 특히 “만기 도래가 상반기에 28조6000억원 집중된다”고 밝혔다.
다만 양호한 시장 여건과 투자 수요 등을 고려했을 때 원활히 소화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국내외 통화정책 기조 전환 기대, 높은 신용 스프레드 수준 등을 봤을 때 회사채 투자 수요가 양호하다는 판단이다. 은행 대출 등 대체 조달 수단을 활용해 상환 자금을 마련할 길도 열려 있다.
그러나 기업 입장에서 연내 차입 여건은 녹록지 않을 수밖에 없다. 저금리였던 발행 당시보다 금리 수준이 높아진 만큼 차환 발행 등에 있어서 차입 비용 확대가 불가피하다.
특히 비우량물, 취약업종의 차입비용 증가와 재무건전성 부담이 우려된다. 비우량 회사채는 전체 잔액의 46.3%가 올해 만기 도래하며 이 비중은 취약업종에서 35.6%로 다른 업종(22.1%)과 견줬을 때 높다. 여기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경계심으로 인해 시장의 리스크 민감도가 높아져 일부 기업의 미매각 가능성도 제기된다.
한은은 “일부 기업의 경우 투자 수요가 제약되며 미매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 경우도 주관사 인수 등을 통해 어느 정도의 차환 발행은 가능할 것”이라며 “회사채 차환에 향후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 비우량·취약업종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면서 재무건전성 악화와 이로 인한 신용경계감 확산 가능성을 더욱 면밀히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내용은 지난 11일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논의됐다. 한은은 올해부터 통화정책방향 결정 때마다 금통위에서 논의된 주요 금융·경제 현안 분석 자료를 요약해 회의 1주 뒤 홈페이지에 공개하기로 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