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자리로 향하고 있다. 사진=최혁중 박형기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어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와 당무 개입 여부에 관한 질문에 “제가 사퇴 요구를 거절했기 때문에 구체적 내용을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전날 이관섭 대통령비서실장과 만난 자리에서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논란 해법 등과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의 ‘사퇴 요구’ 뜻을 전달받았다고 인정한 것이다. 한 위원장은 “제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안다”며 위원장직 수행 의지도 거듭 밝혔다. 전날 “한 위원장 거취는 관여할 일이 아니다”라고 했던 대통령실 측은 어제는 말을 극도로 아꼈고, 윤 대통령은 예정됐던 민생토론회 참석을 취소했다.
윤 대통령이 4·10총선을 80일 앞두고 여당 비대위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는 것은 그 자체로 이해하기 어렵다. 김 여사 논란의 해법은 불 보듯 뻔한데도 그런 강수를 둬가며 가족 방어에 나선 것은 아무리 예측불허 변화무쌍한 한국 정치라도 그 정도가 심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여권 일각에선 대통령실이 섭섭함을 토로하며 ‘지지 철회’ 가능성을 언급한 정도인데 한 위원장이 과장되게 부풀렸다는 해석도 나왔다. 어차피 김 여사 리스크를 넘으려면 갈등이 불가피한데 정면충돌과 극적 수습이란 효과를 노린 짜고 치기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당장 이번 사태가 어디로 흐를지는 지켜봐야겠지만 그 충돌이 어떻게 정리되느냐에 따라 여권의 정치 구도는 크게 바뀔 것이다. 사태가 더욱 격화된다면 여권은 총선 앞 대분열의 혼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다만 그 결과에 따라선 당정관계의 근본적 변화도 이뤄질 수 있다. 이미 윤 대통령은 자기 뜻을 거스르는 여당 인사들을 잇달아 주저앉히며 당 장악력을 과시해 왔다. 이준석 김기현 전 대표를 비롯해 여당 수장과의 파열음도 벌써 세 번째다. 일단 한 위원장은 그런 압박에 정면으로 저항하는 모양새다. ‘윤석열 아바타’에서 벗어나 독립적 이미지를 확보할 기회일 것이다. 하지만 당내 친윤 세력과의 갈등, 여권 분열의 소용돌이는 불가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