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뉴스
더불어민주당 내 친명(친이재명)계와 친문(친문재인)계 갈등이 커지고 있다. 친명계가 친문계가 현역으로 있는 지역구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데다, 이재명 대표가 과거 반문(반문재인)계 상징이었던 이언주 전 의원에게 복당을 제안하면서다. 비명(비이재명)계 탈당 후 잠잠해졌던 계파 충돌이 다시 격화될 전망이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친명계 이연희 민주연구원 상근부원장은 전날 문재인 정부에서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지낸 도종환 의원의 지역구인 청주 흥덕구에 총선 출마를 선언했다.
당초 이 부원장은 서울 동작구을로 중앙당 공직선거후보자검증위원회의 심사를 통과했다. 이 부원장은 선거구 변경 사유에 대해 “역대 대선 결과는 충북이 좌우했다”고 했지만, 당내에선 ‘자객 공천’ 논란이 불거졌다.
이 밖에도 친명계 양문석 전 통영·고성 지역위원장은 일찌감치 비명계 전해철 의원 지역구인 안산시 상록구갑에서 벼르고 있다. 친명계 원외 조직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위원장인 김우영 강원도당위원장 비명계 강병원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은평구을을 노리고 있다.
당 안팎에선 여의도 기반이 약한 이 대표의 의중이 담겼다고 보고 있다. 이미 비명계 이낙연 전 대표와 김종민·이원욱·조응천 의원은 탈당해 이 대표가 움직일 공간이 넓어졌다. 친문계 견제로, 친명계 세력을 공고히 할 수 있어서다.
이 대표가 이언주 전 의원에게 복당을 권유한 데 이어 10호 인재로 김남근 변호사를 영입하자 의심은 더 커지고 있다. 이 전 의원은 친문계와 각을 세우며 민주당을 탈당했고, 김 변호사는 2019년 ‘이재명지키기 범국민대책위’ 소속이었으며 문재인 정부에 치명타였던 LH 사태를 최초로 폭로했다.
일단 이 전 의원의 복당 이후 이 대표의 결정이 ‘원팀론’ 진전성의 가늠자가 될 수밖에 없다. 부산 출신인 이 전 의원은 경기 광명을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재선했다. 일부에선 벌써부터 수도권 내 전략공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