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시절 역대급 성과를 바탕으로 공격적인 인수 정책을 펼쳤던 게임업계가 다시 허리띠를 졸라매야 하는 상황이 됐습니다.
코로나 완화와 전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해 매출은 축소되면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영업 비용 증가로 영업이익이 대폭 줄어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넥슨, 크래프톤 등 든든한 해외 매출을 가지고 있는 몇몇 회사를 제외하면 2023년에 대부분 영업적자로 마무리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실적 악화로 대부분의 게임주가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출처=네이버
메타버스 사업을 축소하는 곳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출처=게임동아
‘오딘 발할라 라이징’, ‘나이트크로우’ 등 대형 게임을 성공시키면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만들 수 있기는 하나, 실패하면 회사가 사라질 정도로 큰 피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해외 사례를 보면 지난해 초 플레이스테이션5(PS5) 기대작으로 꼽혔던 ‘포스포큰’이 실패하면서 개발사인 루미너스프로덕션이 해체됐고, 더 데이 비포를 개발한 러시아 개발사 에프엔나스틱은 게임 얼리액세스 시작 4일 만에 회사 폐업을 발표해서 큰 충격을 주기도 했습니다. 참고로 ‘포스포큰’은 코로나19로 인해 출시일이 두 번이나 연기되며 개발비만 1000억 원이 넘게 들었지만, 판매량은 100만장 이하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흥행 실패로 개발사가 사라진 포스포큰 / 출처=게임동아
지난해 300만 장 이상 판매고를 올리면서 국산 콘솔 게임 시장 부활을 예고한 넥슨 민트로켓의 ‘데이브 더 다이버’는 25명 정도의 작은 개발팀에서 개발한 작품이고, 방치형 게임 열풍을 일으킨 넷마블의 ‘세븐나이츠 키우기’도 20~30명 정도의 개발 인력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데임브더 다이버 메인 이미지 / 출처=넥슨
이처럼 소규모 프로젝트가 확산이 되면서, 회사 운영 체제를 소규모 프로젝트에 맞춰 새롭게 구성하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습니다. 넥슨은 기존 넥슨 게임과 다른 개성있는 게임 개발을 위해 민트로켓이라는 서브 브랜드를 만들어서, 이미 글로벌 흥행작으로 자리잡은 ‘데이브 더 다이버’에 이어 ‘낙원’, ‘웨이크러너’ 등의 신작을 준비 중입니다.
크래프톤 역시 PUBG 배틀그라운드 IP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다수의 독립 스튜디오 중심으로 회사를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PUBG 배틀그라운드를 맡고 있는 펍지 스튜디오와 ‘눈물을 마시는 새’ 프로젝트를 위한 크래프톤 몬트리올 스튜디오 등 벌써 12개의 스튜디오를 운영 중이며, 사내 직원들의 아이디어 발굴을 위해 ‘더 크리에이티브’ 제도도 운영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독립스튜디오 체제로 변화를 시작한 크래프톤 / 출처=크레프톤
조영준 게임동아 기자 jun@i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