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무전공 선발 속도조절, 이제라도 대학과 머리 맞대길[기자의 눈/최예나]

입력 | 2024-01-26 03:00:00

최예나·정책사회부


교육부가 내년도 입시부터 신입생 정원의 20∼25%를 무전공으로 뽑을 때만 대학혁신지원사업 인센티브를 주겠다던 방침을 철회했다. 해당 비율을 달성하지 못해도 학생 전공 선택권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면 정성평가와 가산점 부여 등을 거쳐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교육부는 정책 기조는 그대로란 입장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4일 브리핑에서 “강한 의지를 갖고 추진하되 추진 방식에서 유연하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하겠다는 뜻”이라며 “물러서는 건 없다”고 했다.

물러섰는지 아닌지를 떠나 교육부가 기존 방침을 수정한 건 대학과 학생들을 위해 다행이란 생각이다. 무전공 확대는 지금까지 대학이 운영되던 방식을 완전히 바꿔야 하는 만큼 단시간에 밀어붙일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먼저 무전공으로 입학한 신입생들이 2학년 때 전공을 고르려면 그에 앞서 다양한 전공 탐색 기회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선 학과·계열마다 필수 기초과목과 교양과목을 듣게 돼 있는 현재 커리큘럼이 확 바뀌어야 한다. 또 교수와 선배들이 신입생을 주기적으로 만나 조언과 상담을 하는 시스템도 필요하다. 그렇지 않으면 1학년 때 친구들끼리 몰려다니며 시간만 낭비하다 전공을 택할 때 인기학과로 몰릴 수밖에 없다.

교수도 바뀌어야 한다. 무전공 선발이 확대되면 학생 선택에 따라 전공별 정원이 매년 바뀐다. 인원이 줄어 전공 강의로 수업 시수를 못 채우면 융합과목을 가르쳐야 한다. 예를 들어 2차전지 기술에 대해 공학, 사학, 철학과 교수들이 같이 연구하고 각자 강의하는 등의 방식이 정착돼야 한다. 한 교수는 “강의 노트를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게 교수의 장점인데 무전공이 정착되면 상당수는 학기마다 새 강의를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대학은 교수들의 변화를 뒷받침하도록 평가 기준을 바꿔야 한다.

이렇게 많은 변화가 필요한데 교육부는 지난해 12월 말 각 대학에 추진 방침을 알리고 당장 내년도 입시부터 목표치를 달성하라고 했다. 수시요강을 4월에 공고해야 하는 대학들은 무전공 선발 인원을 어떻게 확보할지 등을 두고 큰 혼란을 겪었다. 자기 학과 정원이 줄어들까 우려하는 교수들의 반발도 거셌다.

만나본 대학 관계자 대부분은 ‘융합 인재 육성’과 ‘전공 선택권 보장’이란 무전공 선발의 취지에는 공감한다고 했다. 이제라도 교육부는 대학의 자율성을 존중하면서 융합형 인재를 기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대학 관계자들과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