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방, 북·중·러·이란 장기 협력 대비 포괄적 대응방안 마련을"
최근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부상하는 북한의 ‘전쟁 준비설’이 지나친 비약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조시 로건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는 25일(현지시간) 기명 칼럼에서 “김정은의 불같은 수사법과 증가하는 위협은 서방과 북한 주민이 자신이 실제 우선순위로부터 관심을 돌리게 하기 위함일 가능성이 크다”라고 했다.
앞서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이달 초 군수 공장 현지 지도 과정에서 남한을 ‘주적’으로 규정했다. 아울러 남한의 무력 사용 등을 가정, ‘모든 수단과 역량을 총동원해 초토화’하겠다고 위협하기도 했다.
로건은 그러나 이를 ‘찻잎을 읽고 미래를 점치는 것’에 비유했다. 이런 분석이 성급한 결론일 수 있다는 것이다. 대신 그는 김 위원장의 우선순위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관계 증진이라고 봤다.
그는 칼럼에서 제니 타운 스팀슨센터 연구원을 인용, “한국·미국과의 긴장을 고조함으로써 김정은은 그들 자금과 산업을 북한 주민 대신 무기 생산에 사용하는 일을 정당화할 수 있다”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전쟁 중인 다른 나라를 돕기 위해 다량의 탄약과 미사일을 보내는 상황에서는 전쟁을 시작하지 않는다”라고도 했다. 미국 정부는 북한의 우크라이나 전쟁용 대러 미사일 제공 현황을 면밀히 살피는 중이다.
로건은 칼럼에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시작된 이후 러시아와 북한은 점점 더 가까워졌다”라고 지적했다. 이로써 북한이 고립 대신 러시아와 손잡은 상태로 세계에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어 “러시아와 북한의 동맹 강화는 양국이 서방의 제재로 ‘고립’됐다는 미국의 주장을 느리지만 확실히 약화하고 있다”라고도 했다. 양국 협력이 서로에게 윈윈이 되고 있다는 의미다.
이와 유사한 분석은 블룸버그에서도 나왔다. 블룸버그는 이날 북한이 러시아와의 교역으로 경제에 활력을 얻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전쟁이라는 극단적인 수단을 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취지로 분석했다.
로건은 아울러 중동에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이 발생하며 세계에서 무기 수요가 늘고 있다는 점을 지적, “북한의 무기 제조 사업은 김정은의 금고를 다시 채울 수 있다”라고도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런 상황에서, 불운히도 미국 정부는 북한에 손가락질하는 것 외에는 창의적인 정책을 보유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라며 성 김 대북특별대표 후임자 지명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