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수 공화국'의 그늘] 장학금-전원 기숙사 혜택 제공 외국인 유학생 유치 나서기도 교수들 입시철 대학 홍보 총동원
“우리 지역 대학에 입학하면 정착 지원금을 드립니다.”
최근 지방자치단체들은 각종 지원금과 조건을 내걸고 지역 대학 신입생 유치에 나서는 모습이다. 장학금이나 정착금 지급, 기숙사 지원 등을 약속하는 경우가 많은데, 지방대 위기가 해당 지역의 위기로 이어진다는 인식 때문이다.
지원 대상은 지자체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충북 제천시의 경우 다른 지역에서 제천 내 대학에 진학하고 주소를 옮긴 경우 장학금 명목으로 100만 원을 주고 있으며 주소를 1년 이상 유지하면 기간에 따라 10만 원(1∼2년), 20만 원(2∼3년), 30만 원(3년 이상)을 지역화폐로 주고 있다. 해외 배낭여행도 지원한다. 전남 영암군도 영암으로 이사 온 대학생에게 전입 장려금 명목으로 최대 8학기 동안 총 200만 원을 지급한다.
등록금이나 주거비를 지원하기도 한다. 강원 횡성군의 경우 학생 본인이나 보호자가 3년 이상 횡성군에 살면 대학 등록금 중 50%를 지원하고 있다. 횡성군 관계자는 “횡성의 경우 원주시와 가깝다 보니 젊은층 인구 유출이 많은 편”이라며 “교육비 부담을 줄이면서 젊은층을 정착시키려는 취지에서 만든 지원 프로그램”이라고 설명했다. 경북 김천시는 기숙사나 임대주택에 거주하는 경우 주거비 명목으로 학기당 30만 원씩 지원하고 있다.
학부생 유치가 여의치 않은 지자체들은 차선책으로 ‘외국인 유학생 모시기’에 공을 들이는 경우도 있다. 외국인 유학생의 경우 정부의 등록금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내국인 학부생보다 높은 등록금을 받을 수도 있다. 충남도는 우즈베키스탄 도시와 교류협력을 맺고 유학생 유치에 나섰고, 대전시도 현지 설명회와 유학생 교류 행사 등을 열며 유학생 유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당사자인 지방대의 경우 입시철마다 교수, 교직원들이 ‘신입생 모시기’에 총동원되는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해 광주의 한 사립대는 신입생 전원에게 아이패드 등 스마트기기 구입 명목으로 현금 60만 원씩을 지원하기도 했다. ‘정시 최초 합격자 전원에게 기숙사 제공’ ‘2학년부터 모두 전과(학과나 계열을 옮기는 것) 허용’ 등을 내건 대학도 있다.
다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신입생 유치 효과는 크지 않다는 것이 중론이다. 경남의 한 대학 관계자는 “인근 고등학교에 홍보를 나갔더니 3년 전에 3학년이 10개 반이었다가 지난해는 6개 반이 됐더라”며 “지역 고교생 수가 워낙 급속히 줄다 보니 입시 지원자를 확보하기 쉽지 않다”고 털어놨다.
이문수 기자 doorwater@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