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手검표 개표에 7만명 필요, 인력 확보 비상 4년 전보다 최대 20% 늘려야 개표에 민간인 대거 투입될 수도
1일 서울 종로구 서울시선관위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22대 국회의원선거 대비 모의개표(수검표) 실습에서 서울시 서관위 관계자들이 국선 투표지 수검표 작업을 하고 있다. 2024.02.01.뉴시스
하지만 투·개표 핵심 인력인 공무원들이 최저시급(9860원) 수준의 수당에 불만을 드러내면서 인력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필요 인력을 채우지 못하면 민간인을 개표사무원으로 상당수 투입할 수밖에 없어 부정선거 의혹 차단을 위해 도입한 수검표 제도 취지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1일 동아일보 취재 결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최근 시군구 선관위별로 투·개표 필요 인력을 집계하면서 수검표 도입에 따라 개표사무원이 약 15∼20% 추가로 필요하다는 의견을 취합했다. 2020년 4·15총선 6만4015명에 비해 최대 1만3000명가량 추가 인원이 필요하다는 계산이다. 또 투표관리관, 투표사무원까지 포함한 선거사무 총인원은 2020년 32만7449명에서 올해 약 34만7000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선거사무에 동원할 공무원 명단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4월 총선때 인력 20% 증원 비상
핵심인력 공무원들 “수당 적다” 거부
경험 적은 은행원 등으로 채워야
실수 늘며 부정선거 시비 가능성
핵심인력 공무원들 “수당 적다” 거부
경험 적은 은행원 등으로 채워야
실수 늘며 부정선거 시비 가능성
뉴시스
선관위가 개표사무원 증원을 추진하는 이유는 개표 시간 지연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서다. 선관위는 수검표 도입으로 개표소별로 선거 다음 날 오전 1∼6시 사이에 끝나던 개표 시간이 평균 2시간 지연될 것이란 예상을 내놓았다. 여기에 만약 수검표를 맡는 심사·집계부에 개표사무원이 충분히 투입되지 않는다면 당선자 확정이 더욱 늦어지면서 혼란이 초래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 “개표 시간 더욱 늦어져 혼란 우려”
기존 개표 절차에선 투표함에서 꺼낸 투표지를 ‘투표지 분류기’로 나눈다. 개표사무원은 심사계수기에서 떨어지는 투표 용지를 눈으로 보며 투표지가 제대로 분류됐는지 확인한다. 이번 총선부터는 투표지를 심사계수기에 넣기 전 사무원이 직접 손으로 만져가며 분류가 정확한지, 무효표는 없는지 보겠다는 것이다. 이후 투표지는 심사계수기로 투입돼 몇 표인지 집계된다.
수검표는 30년 만에 부활하는 절차다. 앞서 선관위는 수검표로 득표 수를 세어 오다가 1995년 투표지 계수기를 도입하면서 이 절차를 없앴다. 그러나 2020년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현 국민의힘)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부정선거 의혹이 일면서 여당이 수검표를 강력하게 요구했고 지난해 말 선관위가 전격 수용했다.
● “민간 사무원 늘면 부정선거 시비 가능성”
민간인 참여 인력의 증가로 개표 과정에서 실수가 늘어날 경우 부정선거 시비가 생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투표 과정에서 대표적인 실수는 동명이인의 본인 확인에 착오가 발생하는 것이다. 투표용지 2장을 건네는 실수도 종종 발생한다. 사전투표용지 발급기 운용 미숙으로 용지가 잘못 출력되는 경우도 있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런 실수는 민간인들이 할 가능성이 높고 이를 바로잡는 과정에서 혼란이 생기면 부정선거 트집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부정선거 의혹을 불식하려 도입한 수검표 제도가 공무원 인력난 속에서 오히려 부정선거 의혹을 키우는 역설적 상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투·개표 관리 경험이 없는 일반인의 경우 사전 교육을 한다 해도 업무를 습득할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투·개표 관리는 최상의 안정된 환경에서 진행되어야 하는데 민간인들이 늘면 실수도 늘 수밖에 없다”고 했다.
공무원노조 측은 “이대로는 선거사무 협조가 어렵다”며 명단 제출을 안 하고 버티고 있다. 현재 시간당 1만 원 내외인 수당을 30∼50%가량 인상하거나 투표 시간을 현재 12시간에서 8시간으로 줄여 달라는 요구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본보와의 통화에서 “정부와 국회가 공무원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하고 민간인 경력자에게는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조권형 기자 buzz@donga.com
공동기획 : 동아일보·중앙선거관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