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3년 출간된 ‘키루스의 교육’ 영역본. 아테나이 군인이자 역사가 크세노폰이 기원전 370년경 쓴 키루스의 일대기로, 리더십의 교본으로 여겨지는 고전이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외조부 위협 피해 살아남아
독일 함부르크에 있는 17세기 키루스의 흉상.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
페르시아 제국 세워 포용 정치
18∼19세기 활동한 프랑스 화가 장샤를 니케즈 페랭의 ‘키루스와 아스티아게스’. 아스티아게스는 외손자 키루스가 자신의 메디아 왕국을 멸망시키는 꿈을 꾸고 아이를 죽이려 했다. 하지만 아이를 넘겨받은 소치기가 죽은 아들을 넘겨주고 대신 그를 아들처럼 키운다. 살아남은 키루스는 실제 메디아를 정복했는데, 외조부도 살려줬을 뿐만 아니라 선정을 펼친다. 그는 지금까지도 이상적 통치자의 전형으로 평가받는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여러 달이 걸리는 먼 곳까지 가서 적을 응징할 수 있는 사람이 이 페르시아 왕 말고 누가 있는가? 제국을 무너뜨리고 복속시킨 백성들로부터 죽을 때까지 ‘아버지’로 불린 사람이 키루스 말고 누가 있는가? 이 모든 일이 가능했던 것은 키루스라는 이름이 약탈자가 아니라 은인의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 그는 자신의 신민을 마치 자신의 자식처럼 귀하게 여기며 보살폈고, 신민들은 키루스를 아버지처럼 여기며 공경했다.”(‘키루스의 교육’·박문재 옮김)
믿기 어렵다. 적대국의 장군에게서 나올 수 있는 찬사일까? 하지만 근거 없는 허구는 아닐 것이다. 구약성서의 기록도 키루스의 행적을 찬양하고 그에게 정복당한 바빌론인들조차 그를 폭군의 압제를 끝낸 ‘구원자’라고 불렀다고 하니까. 이 모든 일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궁금해질 따름이다.
아버지에게서 받은 제왕 교육
크세노폰(기원전 430년∼기원전 355년)의 ‘키루스의 교육’은 그 대답을 찾는 책이다. 이 책의 첫 권은 아버지와 아들의 대화로 시작되는데, 인상적인 대목이 많다. 전장으로 함께 나가는 길에 아들이 아버지에게 묻는다. “아버지, 적을 능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아들아, 쉬운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모든 점에서 적을 능가하려고 하는 사람은 사기꾼과 도둑과 강도처럼 아주 교활하고 영악하게 기만하고 속내를 숨기며 종잡을 수 없게 행동하는 데서 적을 능가해야 한다.” “맙소사, 아버지께서는 지금 제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아들아, 너는 싸울 때는 그런 사람이어야 하지만, 평소에는 세상에서 가장 정의롭고 가장 법을 잘 지키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런 장면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일화들과 중첩되어 흥미를 끈다.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도 자식 교육에 신경을 많이 썼다. 당대의 최고 석학 아리스토텔레스를 가정교사로 초빙했을 정도이니까. 하지만 알렉산드로스의 교육에는 고급 사교육이 메울 수 없는 빈자리가 있었다. 필리포스와 알렉산드로스는 한 집안에 머물 수 없는 두 마리 호랑이였다. ‘정복할 땅을 아버지가 남겨두지 않으면 어쩌지?’ 명예심이 강한 아들에게는 이것이 걱정거리였다. 군사적 역량이 뛰어난 아버지는 아들에게 ‘전쟁의 신’ 같았지만 그 이상은 아니었다. 그는 여자관계가 복잡하고 술을 너무 마셨다. 젊은 후실의 아들이 왕위를 물려받을 거라는 소문이 나돌면서 아들과 아버지의 갈등이 폭발했다. 술자리에서 아버지를 모욕한 아들은 추방을 당했고, 그가 귀환하고 얼마 뒤 아버지는 암살당했다. 키루스와 캄비세스의 대화 같은 것은 상상할 수조차 없는 관계였다.
알렉산드로스의 이야기는 진실이지만, 키루스의 이야기는 ‘소설’이다. 크세노폰은 정복자의 이야기를 교육에 대한 이야기로 바꿔 놓았다. 하지만 소설에도 진실이 있다. 아주 질박한 진실. 제왕의 역량도 그 뿌리는 교육에 있다는 생각, 세대 간의 경험 공유가 모든 교육의 출발점이라는 생각이다. 제왕 교육만 그럴까? 교육에 왕도가 없다면, 시민 개개인이 ‘자기 삶의 제왕’이 되는 데 필요한 교육도 똑같지 않을까?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습득’을 교육의 전부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새로운 기술들과 급속한 사회 변동이 초래하는 세대 간의 거리를 좁히는 것’ 또한 교육의 중요 과제라는 사실은 자주 무시된다. 20, 30대가 키오스크 앞에서 당황하는 노인을 이해 못 하고 60, 70대가 젊은 세대의 미래에 무관심한 사회라면, 거기서 어떤 개인의 역량 개발이, 어떤 공동체가, 미래를 위한 어떤 공동의 노력이 가능할까? ‘애플 제국’의 건설자 스티브 잡스에게도 평생의 신조는 아버지의 낡은 가르침이 아니었나? “훌륭한 목수는 아무도 보지 않는다고 장롱 뒤쪽에 저급한 나무를 쓰지 않아.”
조대호 연세대 철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