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개혁진보선거연합(민주연합) 단장을 맡은 민주당 박홍근 의원과 새진보연합 용혜인 대표, 진보당 윤희숙 상임대표, 박석운 연합정치시민회의(시민사회 인사모임) 상임위원장 등은 이날 국회에서 “정책연합과 비례대표 추천에서의 연합, 지역구에서의 연합 등을 통합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박 의원은 내부 이견으로 첫 회의에 불참한 녹색정의당의 합류를 촉구하면서 “비례연합정당 창당 준비 시한이 있기 때문에 마냥 기다릴 순 없다. 이번 주말이 (기다리는) 시한”이라고 했다.
비례 및 지역구 의석 배분을 둘러싼 정당 간 신경전도 본격화하는 모습이다. 녹색정의당 지도부 일부는 이번 선거연합 참여의 전제 조건으로 현재 의석수보다 많은 6석 이상 확보를 내세우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비례대표 앞 번호 뿐 아니라 야권 텃밭 지역구에서의 민주당의 양보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앞서 정의당 대표를 지냈던 여영국 전 의원은 이번 총선에서 경남 창원성산 지역구 출마를 선언하면서 “(양보가) 아닌 상황은 받아들이기 곤란하다”며 공개적으로 민주당에 지역구 양보를 요구하기도 했다. 보궐선거로 당선됐던 진보당 강성희 의원(전주을)도 13일 해당 지역구에서의 재선을 선언하는 등 소수정당의 압박이 이어지고 있어 추후 협상 과정에서 강 의원 지역구를 비롯해 녹색정의당 심상정 의원(경기 고양갑) 지역구 등이 소수정당 몫 ‘당근’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민주당은 지난해 4월 전북 전주을 보궐선거 때 후보를 내지 않아 사실상 강 의원의 당선을 도왔다. 시민사회 진영 일각에서도 “표면적인 당 지지율보다는 오랫동안 진보 가치를 위해 정치를 해 온 세력에 의석 몫을 더 열어둬야 한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안규영 기자 kyu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