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수교합시다” 이달 7일 쿠바서 극비 전화 날아들었다

입력 | 2024-02-16 03:00:00

[韓-쿠바 수교]
‘007 작전’ 같았던 韓-쿠바 수교 협상
작년 3차례 고위인사 비공개 접촉… 쿠바, ‘형제국’ 北 반발-방해 우려해
“외부에 절대 알리면 안 돼” 압박… 韓, 美측에도 수교 당일에야 알려



2016년 쿠바에 만들어진 BTS 팬클럽 회원들이 대한민국 국기와 쿠바 국기를 각각 펼쳐 보이고 있다. 사단법인 한쿠바교류협회 제공


“수교합시다.”

이달 7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의 주유엔 한국대표부 황준국 대사에게 전화가 왔다. 발신자는 주유엔 쿠바대표부 헤라르도 페날베르 포르탈 대사. 그는 “일단 만나자”는 뜻을 전했다. 8일 황 대사를 만난 포르탈 대사는 “한국과 의미 있는 교류를 원한다”며 수교 의사를 전하고 양국 주유엔 대표부가 외교 공한을 교환하자는 구체적인 수교 방식까지 제안했다. 지난해 집중적으로 우리 측의 수교 의사를 전했지만 ‘형제 국가’ 북한을 의식한 듯 “다른 고려 사항이 있다”며 거절하던 쿠바였기에 갑작스러운 전화에 우리 당국은 깜짝 놀랐다고 한다.

당시 상황을 잘 아는 정부 고위 소식통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수교에 대한 쿠바의 태도가 조금 열려 가는 분위기가 있어 수교 협상이 진전될 수 있다는 기대감은 있었다”면서도 “예상보다 빠른 깜짝 수교 제안에 대표부 안에서도 흥분과 당황하는 기류가 교차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지난해 박진 당시 외교부 장관이 5월 과테말라에서 쿠바 외교차관, 9월 유엔 총회에서 쿠바 외교장관 등 쿠바 측 고위 인사를 비공개로 3차례 만나는 등 집중적으로 수교를 설득해 왔다. 주멕시코 한국대사도 비공개로 쿠바를 방문해 당국자와 협의하고 국·과장급 실무진에서도 여러 번 쿠바 측과 접촉했다고 한다.

쿠바 당국은 비밀리에 이뤄진 수교 협상 과정에서 우리 정부에 여러 차례 강하게 “외부에 절대 알리면 안 된다”며 ‘로키(low-key)’ 접촉을 요구했다고 한다. 정부의 다른 소식통은 “한국에서 관련 기사가 나가면 수교 협상이 어그러질 수 있다는 생각에 뉴욕 접촉 과정에서 보안 유지에 힘을 쏟았다. 유엔 한국대표부 안에서도 극소수만 수교 협상 내용을 공유했다”고 전했다. 정부는 쿠바가 64년간 긴밀한 우방 관계를 이어온 북한의 반발과 방해 공작을 우려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쿠바가 한국에 대해 호감을 갖고 있었음에도 (수교에) 선뜻 응하지 않은 건 오랜 기간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은 우방국이자 형제국인 북한과의 관계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한국과 쿠바 간 수교를 위한 외교 공한 교환도 한국이나 쿠바가 아닌 뉴욕의 유엔 대표부에서 비공개로 진행했다. 정부는 미국 측에도 수교 당일인 14일에야 이 사실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가 이날 밤 수교를 발표하기 수시간 전에야 통보했다는 것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5일 브리핑에서 양국 간 수교에 대해 “과거 동유럽권 국가를 포함해 북한의 우호 국가였던 대(對)사회주의권 외교의 완결판”이라고 평가했다.



“정보 새면 안돼” 쿠바와 직통 가능한 뉴욕서 협상… 分단위 조율



[긴박했던 수교 협상]
8일 유엔 쿠바대사 “수교하자”… 韓 황준국 대사 포함 3명만 내용 공유
尹, 설연휴 최종합의 보고 받고 승인… 14일 외교공한 교환 방식 전격 수교


“한번 삐끗하면 쿠바 당국이 바로 등을 보일 것 같았다.”

정부 고위 소식통은 14일 밤 쿠바와 전격 수교하기까지 비밀 협상 과정을 언급하며 15일 이같이 전했다. 쿠바는 수교 직전까지도 협상 사실을 외부에 절대 알리지 말라고 강하게 요청했다고 한다. 알려지면 뒤따를 ‘형제 국가’ 북한의 거센 반발과 방해공작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이 소식통은 “007 작전하듯 진행된 보안 유지 과정은 협상 자체 못지않게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철통같은 보안 속에서 지난해 양국 간 회동이 이어졌지만 쿠바는 우리의 수교 제안에 만족할 만한 시그널을 주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다 미국 뉴욕의 유엔 주재 쿠바대표부 대사가 황준국 유엔 주재 한국대표부 대사에게 “수교하자”고 제안한 것.

이후 우리 당국은 쿠바 측과 긴밀히 소통하면서 수교를 위한 외교 공한을 언제 교환하고 수교 사실을 몇 시 몇 분에 공표할지 등까지 합의했다. 이어 쿠바가 수교 의사를 처음 밝힌 지 6일 만인 14일 전격 수교했다.

수교 장소는 한국이나 쿠바, 제3국이 아니라 양국 유엔 대표부가 있는 뉴욕이었다. 황준국 대사와 쿠바의 헤라르도 페냘베르 포르탈 대사가 외교 공한을 교환했다. 그에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설 연휴 기간 쿠바와 최종 합의 결과를 보고받고 승인했다.

● 쿠바 “수교 협상 사실 외부 나가면 안 돼”

수교 협상은 물론이고 최종 서명까지 뉴욕 유엔 대표부에서 하자는 제안은 쿠바 측에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쿠바 수도인 아바나에서 자국 대표단과 직통으로 연결이 가능한 만큼 신속하게 수교 절차를 진행하기에 적합한 장소로 판단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유엔 대표부가 보안 유지에 좋다고 생각했을 가능성도 크다. 뉴욕에는 북한 대표부도 있다. 하지만 제3국에서 비밀리에 만나다 어색하게 동선이 노출되는 것보다 오히려 각국 대표부가 자연스럽게 마주치는 뉴욕에서 협상하는 게 북한 측 의심을 피하기에 최적의 장소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 1959년 피델 카스트로 공산 정권 등장 이후 쿠바와 교류가 단절됐다. 쿠바에 수교를 처음 타진한 건 2014년 무렵이다. 이후 꾸준히 문을 두드려도 쿠바의 반응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정부 당국자는 “항상 쿠바 측은 ‘얘기하면 들어보겠지만 답을 주긴 어렵다’는 식으로 답을 피했다”고 했다.

윤석열 정부도 출범 후 쿠바와의 수교를 적극 타진했다. 그러다 쿠바 당국에서 “일단 직접 만나보자”는 답변이 온 건 지난해 초였다고 한다. 이어 지난해 하반기엔 집중 물밑 교섭이 이어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해 외교부 장관이 쿠바 측 고위 인사와 3차례 접촉했다”고 했다.

다만 이러한 물밑 접촉에도 쿠바는 수교 제안에 대해선 “다른 고려할 사항이 있다”는 취지로 답하며 당장 어렵다는 자세를 유지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다 5일 자세를 바꿔 우리 측에 수교를 전격 제안한 것이다. 이후 양국은 심도 있게 수교 협상을 이어갔고 보안은 더욱 강화됐다. 유엔 한국대표부 안에서도 황 대사를 포함해 3명만 내용을 공유했다고 한다. 특히 쿠바 측은 우리 측과 소통할 때마다 한국 언론 등을 통해 내용이 새나갈 것을 우려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소식통은 “관련 당국자들은 수교 전까지 보안 전화를 사용할 때도 조심스러웠다”고도 했다.

14일 밤 공식적으로 수교 사실을 알렸지만 그에 앞서 엠바고(보도 유예)를 걸고 제공되는 사전 자료도 없었다. 이 역시 쿠바 측이 수교 직전까지 신중에 신중을 거듭했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 트럼프 재집권 염두에 두고 韓 손잡은 듯

북한과 ‘형제 국가’로 통하는 쿠바가 북한의 거센 반발이 예상됨에도 전격적으로 한국에 손을 내민 건 심각한 경제난이 결정적인 요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혁명의 주역인 카스트로 형제의 통치가 2018년 공식적으로 막을 내리고 미겔 디아스카넬 대통령이 권력의 중심에 섰지만 쿠바의 경제난은 여전하다. 정부 당국자는 “국내적으론 경제난 타개책이 보이지 않자 외부로 눈을 돌렸고, 한국이 눈에 들어온 것”이라며 “지난해 만난 쿠바 당국자가 우리 자동차, 중공업 산업에 대해 잘 알고 있어 놀랐다”고 했다.

정부 소식통은 쿠바가 11월 미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할 경우 미국의 제재 수위가 다시 높아질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제 협력이 가능한 한국과 수교를 결정한 것으로 봤다. 쿠바는 버락 오바마 정부 당시 미국과 관계가 개선돼 2015년 4% 경제 성장을 기록했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 집권 때 양국 관계가 다시 악화됐다.



신진우 기자 niceshin@donga.com
전주영 기자 aimhigh@donga.com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