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다중채무자 450만명 ‘역대 최대’…카드 연체액 급증

입력 | 2024-02-16 15:00:00

카드론 잔액, 1년 새 2조2000억원 증가
연체액, 2조원…전년 대비 53% 급증





저축은행의 대출 축소 영향으로 다중채무자들의 카드사 유입이 확대되며 카드업계가 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의 대규모 신용사면, 저축은행의 다중채무자 규제 강화 등으로 이들 차주들의 카드 대출 이용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8개 카드전업사(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우리·하나·BC카드)의 카드론 누적 잔액은 35조8381억원으로 1년 전(33조6403억원)과 비교해 2조2000억원가량 증가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8개 카드사의 연체액은 2조516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3398억원)와 비교해 53% 늘었다. 이는 8개 카드사 체제가 구축된 2014년 이후 최대 규모다.

이는 고금리가 지속되며 다중채무자의 상환능력이 저하된 가운데,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에서 대출 문턱을 높이자 수요가 카드업계로 쏠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에게 제출받은 ‘다중채무자 가계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 다중채무자는 450만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다중채무자는 3개 이상의 금융사에서 대출받은 차주를 뜻한다. 한 금융기관에서 빌린 돈으로 다른 금융기관에 이자를 갚는 경우가 잦아 고금리에 가장 취약한 계층이다.

전체 가계대출자 1983만명 가운데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 또한 22.7%로 최대 수준을 기록했다. 이들의 평균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은 1.5%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3분기(1.5%) 이후 4년 만에 최고치다.

또 다중채무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58.4%에 달해 소득의 약 60%를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DSR은 차주의 소득에서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통상 DSR이 70%를 넘기면 ‘한계차주’로 분류한다. 한계차주는 최소 생계비를 제외한 소득을 원리금 상환에 부담해야 하는데, 다중채무자의 상당수가 한계차주 수준에 도달한 것으로 보인다.

다중채무자의 카드업계 유입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6일 2021년 9월부터 지난달까지 소액연체(2000만원 이하)가 발생한 298만명에 대해 5월까지 연체 금액을 전액 상환할 경우 신용회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연체 금액 상환 시 연체이력을 신용평가에 반영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에 약 250만명의 신용점수가 평균 662점(NICE 기준)에서 701점으로 39점 상승할 것으로 추산된다. 특히 신용회복 지원 이후 15만명은 추가로 관계법령에 따른 카드발급 기준 최저신용점수인 645점을 충족할 것으로 보인다.

또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다중채무자 규제를 강화, 7월부터 저축은행은 다중채무자 대출에 충당금을 30~50% 더 쌓아야 한다. 이에 다중채무자의 저축은행 대출 문턱은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신용차주의 추가 유입도 예측된다. 금융당국은 이달 중 ‘스트레스 DSR’ 제도를 도입할 예정인데, 도입 시 대출 한도가 줄기 때문이다. DSR제도에 현금서비스와 리볼빙은 포함되지 않는 만큼 급전이 필요한 차주들이 카드사 대출 서비스를 더 이용하는 ‘풍선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스트레스 DSR이란 과도한 가계대출 확대를 막기위해 전 금융권의 변동·혼합·주기형 대출상품에 미래 금리변동 위험을 반영하는 제도다. 기존 금리에서 일정 금리를 가산, 이자를 늘려 차주의 대출 한도를 줄이는 것이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이 3%를 넘어선 상황”이라며 “건전성 유지를 위해서는 위험관리가 중요한데 신용사면 등의 이슈로 카드사들의 위험관리 예측이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