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에 센서 삽입해 혈당 자동 측정… 채혈하지 않아 환자 사이서 큰 호응 의료진 “측정기 교육 수가 반영 안돼… 사용률 높이려면 수가 인상 동반돼야”
김재현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 내과 교수. 김 교수는 “당뇨병은 혈당 조절만 잘해도 중증 합병증 없이 관리할 수 있는 질환”이라며 “병원에서 인슐린 펌프의 처방이 용이하도록 치료관리수가를 책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아쉽게도 아직 당뇨병을 완치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하지만 당뇨병도 혈당 조절만 잘된다면 합병증 없이 충분히 건강한 생활이 가능하다.
최근 CGM(연속혈당측정기)과 인슐린 펌프 같은 의료기기를 이용해 효과적으로 혈당을 관리하는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면 번거롭게 손끝 채혈을 하지 않고도 피부에 삽입한 센서를 통해 혈당이 자동으로 측정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의 호응도가 매우 높다.
하루 동안의 혈당 변동과 부착 기간 평균 혈당, 목표 혈당에 얼마나 도달했는지 알 수 있다. 저혈당이 언제, 몇 번이나 발생했는지도 확인한다.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면 당뇨병 환자는 좀 더 적극적이고 세밀한 혈당 조절을 할 수 있다. 이런 데이터가 쌓이면 의료진은 환자 진료에서 좀 더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는 판단 근거를 가지게 된다.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김재현 교수는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이 활발하지 않은 또 다른 이유는 치료 관리 수가가 너무 낮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의료기기를 환자가 외부에서 직접 구매해야 하는 우리나라에선 의료진이 연속혈당측정기를 권하거나 처방하기 어려운 구조다. 김 교수는 “연속혈당측정기 교육·판독에 대한 행위 수가가 적용됐지만 관련 교육에 드는 시간과 노력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라고 말했다.
요양비 지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환자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라고 볼 수 없다. 오히려 노인, 취약계층 환자의 접근성을 떨어트리고 치료 격차만 벌린다. 환자가 환급을 신청해야만 공단이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국가는 정확한 연속혈당측정기 시장 규모, 가격, 구입처를 알기 어렵다. 게다가 당뇨병 관리 기기를 국가나 병원에서 책임지고 관리하는 시스템도 아니다. 교육이나 처방에 대한 수가도 반영되지 않아 병원의 관심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분명히 환자의 올바른 연속혈당측정기 사용을 저해하는 요소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는 제1형 당뇨병 환자 중 10.7%만이 연속혈당측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제2형은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선진국은 70∼80%의 사용률을 보인다.
김 교수는 “인슐린 펌프는 가장 위험도가 높은 4등급 의료기기인데 수가가 없어서 병원에 둘 수도 없다”라고 말했다. 혈당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탄수화물을 먹는 양에 따라 인슐린 사용량을 세심하게 조정해야 한다. 그래서 의사가 환자의 인슐린 펌프를 세팅하고 사용법을 교육할 때는 한 명당 30분에서 한 시간씩 걸리는 경우가 다반사다. 돈이 되지 않는 환자를 오래 진료하는 의사를 병원에서 곱게 볼 리 없다.
결국 요양비 지원이나 적은 수가가 의료진뿐만 아니라 환자, 기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침이나 환자의 인식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지만 아직 환자, 기업, 의료진 중 누구도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 근본적으로 관련 의료 정책이 바뀌어야 할 때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