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를 영화로 읊다] <76> 목인에게 주는 시
데이비드 로워리 감독의 영화 ‘그린 나이트’에서 나무처럼 형상화된 그린 나이트는 주인공 자신의 또 다른 모습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A24 제공
‘목인(木人)’은 글자대로라면 나무 인간이란 뜻이다. 한시에서 ‘목인’의 전고(典故·전거로 삼은 옛일)로 자주 등장하는 것은 비가 내리면 물에 떠내려갈 수밖에 없는 나무 인형 이야기다. 전국시대 소대(蘇代)가 진(秦)나라의 위험한 초대에 응하려는 맹상군(孟嘗君)을 이 비유로 만류한 바 있다(史記 ‘맹상군열전’). 두보는 이를 자신의 처지에 원용하여 “나는 쇠하여 물에 뜬 나무 인형 같은 신세(吾衰同泛梗)”(‘臨邑舍弟書至, ……’)라고 쓴 적이 있다. 조선시대 노수신(盧守愼·1515∼1590)은 ‘목인’에게 주는 시를 남겼다.
중세 로망스 ‘가윈 경과 녹색기사’를 원작으로 한 데이비드 로워리 감독의 ‘그린 나이트’(2021년)에도 나무 형상을 한 그린 나이트가 등장한다. 영화는 자신의 무용담을 만들기 위해 그린 나이트의 ‘목 베기 게임’에 응한 가윈의 여정을 담고 있다. 가윈은 그린 나이트의 목을 벤 1년 뒤 약속대로 그린 나이트에게 자신의 목을 내놓아야 하지만 죽음이 두려워 계속 망설인다. 시인도 이제 벼슬길에서 물러나야 할 때임을 알지만 아쉬움에 선뜻 받아들이지 못하는 듯하다.
중세 기사에게 죽음도 불사하는 용기가 중요한 덕목이었던 것처럼 조선의 지식인들에겐 벼슬길 처신의 문제가 중요했다. 가윈이 기사도를 따라야만 하듯 시인도 선비로서의 절조를 지켜야 했지만, 미련이 남는 것은 어쩔 수 없다. 벼슬길과 모험길에서 시인과 주인공이 겪은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갈등을 ‘목인’과 ‘그린 나이트’에서 목도한다.
임준철 고려대 한문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