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홍수 예·경보 시스템 강화… 지방하천, 국가 관리 확대

입력 | 2024-03-20 03:00:00

22일 ‘물의 날’, 물 관리 현황은
댐 지어 조절용량 382만㎥ 확충
담수화-지하수 개발로 용수 확보



충남 서산시 대산석유화학단지 해수 담수화 시설 공사 현장. 국내 최대 규모로, 완공되면 담수를 하루에 10만 t 공급할 수 있다. 환경부 제공


세계 물의 날’(22일)을 앞두고 올해도 지방자치단체, 민간 기업들이 자연 정화 활동에 나서는 등 물 관련 행사가 줄을 잇고 있다. 정부도 기후 위기에 대비해 안정적인 수자원 공급과 관리를 위한 정책에 박차를 하고 있다.

국가 및 지역 물 관리 대응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정부 물 관리 정책 기본 방향은 기후변화에 대비해 지속 가능한 홍수 관리, 가뭄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수자원 다각화,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건전한 물 환경 조성이다.

우선 홍수 대응 능력을 높이기 위한 예보 및 경보 시스템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5월부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첨단 예보 시스템을 선보인다. AI 첨단 시스템을 활용해 홍수 특보 발령 지점을 기존 큰 하천 중심 75곳에서 지류 및 지천까지 포함한 223곳으로 대폭 늘려 더욱 촘촘하게 홍수 예보를 시행할 방침이다.

하천 정비도 강화한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아 홍수 피해가 컸던 지방 및 도심 하천을 국가하천으로 승격해 국가가 직접 관리하며 안전 확보에 나선다. 현재 73곳인 국가하천을 89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먼저 강원 삼척 오십천, 경기 한탄강을 비롯해 10곳을 올해 국가하천으로 승격한다. 도심 홍수 예방을 위해 서울 강남과 광화문에 대심도(大深度) 빗물터널을 구축하고 도림천 지하 방수로 사업도 올해 착수한다.

국지적으로 발생하는 홍수와 가뭄에 대비하기 위해 지역 특성을 고려한 댐 건설을 추진하고 친환경 다목적 저류지(貯溜池)도 확보한다. 현재 강원 원주천댐과 경북 봉화댐이 설계를 마치고 공사 중이다. 댐이 완공되면 연간 홍수 조절 용량 약 382만 ㎥를 추가 확보하게 된다.

해수 담수화 사업을 통한 공업용수도 확보할 계획이다. 충남 서산시 대산석유화학단지에 건설 중인 해수 담수화 시설은 국내 최대 규모로 하루 10만 t을 공급할 수 있다. 2025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사업비를 전액 부담한다. 충남에는 대청댐과 금강이 있지만 이상기후에 대비하면서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기에는 부족하다. 국내 해수 담수화 기술은 높은 수준을 자랑한다. 물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세계 각국으로 기술을 수출할 전망도 밝다.

지하수도 적극적으로 개발한다. 2022년 기준 국내 지하수 이용량은 연간 30억4000만 ㎥로 전체 지하수 개발 가능량(135억4000만 ㎥)의 22.5%에 불과하다. 정부는 지하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난해까지 전국 161개 시군에 대한 지하수 기초 조사를 완료했다. 올해는 전북 무주·경남 창녕·강원 인제·경북 영양, 2025년에는 경북 울릉·강원 영월을 끝으로 전국 167개 시군 기초 조사를 마칠 예정이다.

수질 오염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도 실시된다. 지난해 낙동강에서 실시한 지류 및 지천에 방치된 가축 분뇨 수거 사업을 올해는 한강 금강 영산강 일대로 확대한다.

김영오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기후변화로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물 관리는 비가역적 정책보다는 가역적 정책을 펴서 시행착오를 거치며 배우면서 가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위험을 분산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점에서 정부가 추진하는 물 관리 정책은 고무적이다”라고 했다.


이원홍 기자 bluesk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