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5월 방중설 푸틴, 내친김에 북한까지 방문하나…북중러 밀착 촉각

입력 | 2024-03-20 15:35:00

ⓒ News1 DB


5연임에 성공한 블리다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방중·방북 일정을 연쇄적으로 소화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모습이다.

지난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푸틴 대통령이 5월 중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위해 중국을 방문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의 해외 방문 일정에 대해 “적절한 시기에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외교부는 아직 별도의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푸틴 대통령의 임기는 오는 5월7일에 새롭게 시작된다. 그의 5월 방중이 현실화할 경우 임기 시작 후 첫 해외 일정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3월 시 주석은 3연임 임기 시작 후 첫 해외 순방국으로 러시아를 찾은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이 이에 화답한다면, 그는 방중 뒤 방북할 것으로 예상된다.

푸틴 대통령의 방중·방북이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성사된다면 이는 중국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북중러 협력 공고화’에 대한 우려가 다시 제기되는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러시아는 지난해 9월 푸틴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정상회담 전부터 기존 중러연합 군사훈련에 북한이 참여할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3국 연대에 대한 ‘밑그림’을 그려왔다.

러시아는 특히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속 북한의 무기 지원 등 군사협력을 기점으로 북한과의 양자관계 강화에 더욱 공을 들이는 모습이다.

최근 푸틴 대통령은 김 총비서에게 러시아 최고급 세단인 ‘아우르스’를 선물했고, 북한은 이를 대내외에 공개하며 북러가 ‘특별한 관계’임을 부각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일련의 대북제재 결의를 통해 고급 자동차와 같은 ‘사치품’의 직간접적인 공급·판매·이전을 금지하고 있다. 하지만 결의 이행에 있어 모범을 보여야 할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는 대놓고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무시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는 이에 앞서 지난 2022년엔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통해 ‘핵·ICBM 모라토리엄’(유예)을 파기했음에도 추가 대북제재 결의 채택 과정에 ‘거부권’을 행사하는 등 계속해서 북한의 뒷배를 자처해 왔다.

또한 푸틴 대통령은 지난 13일(현지시간)엔 자국 언론과 인터뷰에서 “북한은 자체 핵우산을 가지고 있다”라며 “그들은 우리에게 어떤 것도 요청하지 않았다”라고 언급, 북한을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

다만 러시아가 푸틴 대통령의 방중·방북으로 또다시 북중러 3각 연대의 운을 띄우더라도 중국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중국은 현재까지 철저히 중러, 북중 양자 차원에서만 관계 강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북중러 3국이 묶이는 것에 대해선 거리를 두고 있다. 또한 일종의 ‘진영주의’엔 단호히 반대한다는 메시지를 여러 차례 밝힌 바 있다.

전문가들도 푸틴 대통령의 행보와는 별개로 북중러 결속 강화가 현실화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러시아가 북한과의 결속을 추구하는 건 철저히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일시적 필요에 따른 것”이라며 “러시아가 물론 서구 진영에 대항하려 하겠지만 그들의 역사와 푸틴의 통치 체제 방식을 보면 적극적으로 어떤 진영 구축에 대한 무엇인가를 만들어 나갈 생각은 없어 보인다”라고 말했다.

박 교수는 “특히 중국이 북중러 구도를 원하지 않고 있다는 걸 러시아도 인지하고 있다”라며 “러시아가 북중러 얘기를 한 적은 있지만 실제 이뤄질 것이라고 보진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