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신규 부실 5조7000억 고금리-침체로 기업들 대출 못갚아 4대은행 작년말 회수 포기 2조육박
국내 은행권에서 지난해 4분기(10∼12월) 새로 발생한 부실채권 규모가 5년 만에 최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고금리에 따른 경기 부진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이 맞물리면서 은행이 기업에 빌려준 자금을 회수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특히 기업대출에서 발생한 신규 부실채권이 전 분기 대비 1조3000억 원 늘면서 4조4000억 원 규모로 집계됐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경기 악화, 부동산 PF 부실 등의 영향으로 은행이 보유한 일부 기업의 채권에서 부실이 발생한 것”이라며 “대내외 불확실성 등의 위험 요인을 고려해 은행권이 대손충당금 적립을 확대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국내에서 가장 우량하다고 평가받는 금융지주사들도 부실채권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KB, 신한, 하나, 우리금융그룹의 추정손실은 총 1조966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48.8% 급증했다. 추정손실은 부실채권 중에서도 가장 건전성이 낮은 단계로 12개월 이상 연체돼 금융사가 회수를 사실상 포기한 채권을 말한다. 부실채권 급증은 은행 등 금융회사의 실적 악화와 건전성 우려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고금리, 고물가 장기화로 중소기업이 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을 원인으로 지목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자 감면 등의 정부 대책이 잇따르고 있지만 경기 상황과 기업 경영 개선세가 뒷받침되지 않고 있다”며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연체율이나 부실채권 비율이 상승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 2년새 3배로… 2금융권도 부실채권 몸살
새마을금고는 연체율 7% 넘어
카드사 연체율도 9년만에 최고치
금융권 전반으로 부실 확산 우려
“개인-기업 유동성 위기 대책 시급”
카드사 연체율도 9년만에 최고치
금융권 전반으로 부실 확산 우려
“개인-기업 유동성 위기 대책 시급”
서울 성동구에서 4년간 와인바를 운영해온 한모 씨(39)는 최근 사업을 접기로 했다. 경기 위축에 따른 소비 침체로 손님의 발길이 뚝 끊기면서 창업 초기 인테리어, 주방 장비 등을 마련하고자 받았던 대출금조차 갚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한 씨는 “대출 상환 부담이 더 커지기 전에 사업을 청산하고 직장인의 삶으로 돌아가려 한다”고 말했다.
총선을 앞두고 정부와 정치권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을 위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지만 정작 금융권에서는 부실채권으로 인한 불안감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경제의 버팀목이라 할 수 있는 개인 사업자와 중소기업들이 빚을 갚지 못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어서다. 기업들의 재무 여력이 취약해진 상태에서 선거 이후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가 붙을 경우 자칫 금융권으로 부실이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 자영업 연체율 급증… 2금융권 취약
영세 자영업자 고객 비중이 높은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도 부실채권으로 난감한 상황을 겪고 있다. 특히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2월 말 기준 7%를 넘었다. 올 들어서만 2%포인트 넘게 치솟으며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새마을금고는 급증하는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1조 원어치 부실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넘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도 쏟아지는 부실채권에 몸살을 앓고 있다. 지난해 3분기(7∼9월) 기준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연체율은 6.15%로 2022년 말(3.41%) 대비 1.8배 상승했다. 한계기업들이 빚을 못 갚으면 가뜩이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으로 충격을 받은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건전성이 더욱 취약해질 수 있다.
● 개인 연체율도 비상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연체율에도 비상이 걸렸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9개 주요 카드사의 카드론 잔액은 39조4743억 원으로 역대 최대였던 1월(39조2120억 원) 대비 2000억 원 넘게 불어났다. 저축은행 등 다른 2금융권이 대출 문턱을 높인 상황에서 카드사를 통해 ‘급전’을 마련하는 서민이 늘어났다는 얘기다. 지난해 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등의 1개월 이상 연체율을 뜻하는 카드사 연체율은 1.63%로 2014년(1.69%) 이후 9년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금융당국은 아직 금융권의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부채의 총량을 줄여 나가는 ‘다운사이징’ 작업과 함께 유동성이 막힌 중소기업과 서민들에 대한 빠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고금리, 고물가의 흐름 속에 내수가 위축될 우려가 높은 상황”이라며 “정부 차원에서 일시적인 유동성 위기에 빠진 서민,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구체적인 방안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강우석 기자 wskang@donga.com
소설희 기자 facth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