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졸업식에서 학사모 던지는 사진은 언제부터 찍기 시작했을까?[청계천 옆 사진관]

입력 | 2024-03-23 11:00:00

변영욱의 백년사진 No. 53






누구나 스마트폰 카메라로 가족과 풍경을 멋지게 찍을 수 있는 시대입니다. 사진이 넘쳐나는 오늘을 살면서, 100년 전 신문에 실렸던 흑백사진을 한 장씩 살펴봅니다. 독자들의 댓글을 통해 우리 이미지의 원형을 찾아가는 여정이기도 합니다.

오늘 소개드릴 사진은 1924년 3월 22일 자 동아일보에 실린 사진입니다. 4명의 여성들이 졸업 가운과 학사모를 쓴 채 정면 사진기자를 바라보고 있습니다. 사진 맨 오른쪽 여성은 선글라스라고 해도 될 만큼 검은 안경을 쓰고 있습니다.

1924년 3월 22일 동아일보.

졸업식 사진은 분명한데 무슨 내용인지 설명을 살펴보겠습니다.


◇梨花의 大學科
졸업생 4명

시내 정동에 있는 이화학당 대학과 졸업식은 20일 오후 7시 반에 정동 예배당에서 열었는데 내빈과 관객이 천여명이며 눈같은 옷에 사각모를 쓴 김로다 양 외 3명에게 졸업증서를 주고 졸업생 김종준 양 김로다 양의 졸업 연설이 있고 기쁨과 비애가 섞인 졸업가로 식을 마치었는데 금년 졸업생은 4명이다. /1924년 3월 22일자 동아일보

▶ 서울 시내 정동에 있는 이화학당의 대학과 졸업식이 있었군요. 저녁 7시 30분에 졸업식을 했다는 게 특이합니다. 먹고 살기 힘든 시절, 내빈과 학부모들이 졸업식에 참석하려면 일과가 끝난 시간이 편했을 것 같긴 합니다. 졸업생은 4명인데, 축하객은 무려 1천 명에 달한 것으로 보아 사진 속 인물들에 대한 궁금증이 커집니다.


▶ 요즘은 졸업식은 2월 말, 입학식은 3월 초이지만 100년 전에는 한 달씩 늦었습니다. 신문을 보면 3월에 졸업, 신학기 시작은 4월 1일 이런 패턴이 보입니다. 졸업 시즌을 맞은 3월치 신문에는 각 학교 우수 졸업생들의 증명사진이 실려 있습니다. 동아일보 뿐만 아니라 조선일보와 매일신보에도 같은 얼굴들이 보입니다. 신문사별로 사진이 다른 것으로 보아, 학교 측에서 제공한 사진이 아니라 신문사에서 사진기자들이 각 학교로 가서 학생들을 직접 찍은 것으로 보입니다. 우수 졸업생들은 그날 꽤 바쁜 일정이었겠습니다. 신문사 별로 와서 사진을 찍자고 했을 테니까 말입니다.


▶지금의 기준으로 보면, 이화여대 단과대학 최우수 졸업생의 얼굴을 신문에 싣는 거니 ‘이상한’ 보도입니다. 이유를 생각해 봤습니다. 고등학교나 대학교 졸업생의 나이가 17세~20세 정도 되니 이들이 사회생활을 20년 정도 하고 나면 30대 후반 ~40대 초반이었을 겁니다. 1920년대 신문에 실렸던 얼굴들은 20년이 지나 1945년 우리나라 건국 당시 각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셨을 테지요. 그래서였을까요, 우리 사회의 미래를 책임지게 될 인물의 탄생을 놓치지 않고 소개하려고 했던 신문의 집착이 보입니다.


▶학사모를 사각모라고 표현을 했네요. 요즘 대학 졸업식에서 쓰는 학사모와 모양은 차이가 없습니다. 그런데 아무리 중요한 인물이라고 하더라도 사진이 너무 심심하지 않으신가요? 무표정하게 정면을 응시하는 4명의 모습을 지금 신문에 쓴다면 독자들이 의아해할 거 같습니다. 지금의 사진과는 느낌 차이가 큽니다. 어쩌면 우리가 지금 찍고 보는 사진이 지나치게 포장되고 과장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심심한 사진을 보다 보니, 졸업식에서 학사모를 던지는 사진은 언제부터 나왔을까 궁금해집니다. 신문에도 가끔 실리기도 하고, 인터넷 기사에도 많이 첨부되는 모습 말입니다. 어쩌면 독자 여러분도 한 번씩 찍어보셨을 수도 있는 사진입니다.
언제부터 이런 종류의 사진을 찍었던 걸까요? 동아일보 사진 데이터베이스를 뒤져봤더니 생각보다 역사가 길지 않습니다. 2000년 5월 4일에 찍은 사진이 가장 오래된 사진입니다. 사진 설명은 이렇습니다.

“벌써부터 졸업 기분 – 내년 2월 졸업을 앞두고 4일 연세대 본관 앞에서 졸업앨범 사진을 찍고 있는 인문학부 학생들. 사진사의 신호에 따라 일제히 학사모를 공중에 던지며 환호하고 있다. 2000년 5월 4일.”


▶ 인터넷 검색을 통해 자료를 찾아보니, 우리나라에서 학위복을 처음 입은 것은 1908년 최초의 현대식 고등교육기관이자 의(醫) 학교인 제중원의 졸업식이었다고 합니다. 미국 유학생들의 경험을 토대로 검은 가운을 입었고, 검은색 술이 달린 검은 사각모를 썼다고 합니다. 학사모를 하늘로 던지는 퍼포먼스의 시작도 미국 해군사관학교 임관식이라는 기사도 여기저기 검색이 됩니다. 계급장이 달린 장교 모자를 지급 받으면서 학생 신분을 상징하는 학사모를 공중으로 던져서 새로운 시작을 자축했을거라는 설명도 함께 있습니다. 아일랜드 목동들이 울타리 안에서 사고가 제한되는 것을 우려해 모자 던지기 시합을 통해 세상을 넓게 바라보는 기회를 가졌다는 설(設)도 있습니다.

정확한 역사적 고증은 제가 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닐 수도 있으니 이쯤 하겠습니다. 아무튼 100년 전에는 없던, 학사모 던지는 풍습이 외국에서 들어와 우리나라에 정착한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혹시 2000년도 이전에 학사모 던지는 사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 글을 보시는 분들 중에 그런 사진을 알고 계시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럼 우리는 왜 학사모를 던지는 걸까요? 사진기자인 저도 지난 2월 서울 시내에서 열린 졸업식을 몇 번 취재하러 갔습니다. 졸업식의 엄숙한 모습을 신문에 쓰기엔 좀 어색해서 이것저것 특별한 장면을 찾아보려고 노력을 하지만 별로 특별한 장면을 못 찾을 때가 많습니다. 그럴 경우 몇몇 학생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학사모를 하늘로 던지라고 부탁을 합니다. 연출 사진인거죠. 사진기자들이 연출을 해도 되냐고 물으시는 분도 있겠지만 제 기준으로는, ‘누군가에게 피해가 가는 상황이 아니라면’ 불가피할 경우 연출을 합니다. 밋밋한 사진을 찍기 싫어 학사모를 던지는 모습을 연출하는 게 하나의 이유일 겁니다. 입시를 위해 고달프게 보낸 고등학교 3년과 사회 진출을 위해 열심히 공부했던 대학 4년의 힘든 시간을 훌훌 털어낸다는 의미를 담으려고도 하는 것 같구요. 그들의 앞길엔 밝은 미래가 기다린다는 희망도 얘기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이런 사진의 배경은 흐린 하늘보다는 파란 하늘이 어울립니다. 그런데 이런 사진도 이제는 신문에 많이 실리지는 않습니다.

그러고 보니 졸업식의 특별한 장면도 유행이 있습니다. 디지털카메라가 처음 대중화되던 때는 상업 사진사분들이 손님을 기다리는 장면이 신문에 꽤 자주 실렸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전에는 사각모를 부모님이나 배우자에게 씌워 드리고 공부 뒷바라지를 감사해하는 사진을 찍던 시절도 있었습니다.


▶ 오늘은 100년 전 서울 이화학당의 졸업식에서 사각모를 쓴 채 카메라를 응시하고 있는 4명의 졸업생 사진을 살펴보았습니다. 여러분은 사진에서 뭐가 보이시나요? 학사모 던지는 사진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댓글에서 여러분의 시선을 느껴보고 싶습니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