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경제의 산물, 로마 콜로세움
이탈리아 로마에 있는 고대 로마 원형경기장 콜로세움. 서기 72∼80년 사이에 지어졌다. 동아일보DB
양정무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그는 오늘날 콜로세움을 똑같이 건립한다면 이보다 절반 정도, 10억 달러면 가능할 것으로 계산한다. 현대의 건설 장비를 쓰되 동일한 재료로 콜로세움을 미국 땅에 건설하는 조건으로 건설업 관계자로부터 견적서를 받아 본 결과다.
역사적으로 로마제국 당시 콜로세움에 들어간 건축비에 대한 기록은 전해 오지 않지만 다행히 콜로세움에 투여된 건축비의 조달 방식은 비교적 명확해 보인다. 콜로세움은 베스파시아누스 황제가 전쟁에서 얻은 전리품으로 건립한 것이라는 비문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네로가 자살한 후 혼란기를 수습하고 황제의 자리에 오르는 베스파시아누스는 콜로세움을 건설하기 직전인 서기 70년 두 아들 티투스와 도미티아누스와 함께 유대인의 반란을 진압한다. 이때 베스파시아누스 황제는 노예로 쓰일 전쟁포로만 10만 명 정도를 유대에서 로마로 데려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예 한 명의 거래가를 1억 원으로 잡으면 10조 원에 이르는 막대한 수익을 황제에게 가져다줬다고 볼 수 있다.
로마제국 11대 황제 티투스의 전쟁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티투스 개선문 부조 일부. 예루살렘을 정복한 로마 군사들이 그곳에서 약탈한 전리품을 나르는 장면이 조각돼 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로마는 전리품과 노예들이 끊임없이 공급돼야 사회가 작동하는 경제구조였다. 결국 정복 전쟁을 계속 벌일 수밖에 없었지만 이는 결국 한계점에 다다른다. 정복지가 넓어지는 만큼 지켜야 할 국경선이 넓어지면서 제국을 유지하는 비용이 전쟁을 통해 얻는 수익보다 더 많이 들었기 때문이다.
로마제국은 콜로세움이 세워진 후 거의 400년 가까이 더 유지된다. 이 때문에 콜로세움을 보면서 로마제국의 몰락보다는 당시 경제체제가 전쟁과 노예제를 기반으로 얼마나 강력하게 작동하고 있었는지 상상하는 편이 더 적절해 보인다.
여기서 현대의 건축물 중 2000년 후에도 콜로세움만큼 건재하게 살아남아 감동을 줄 건축물이 어떤 것이 있을까 하는 질문을 한 번 던져 보고 싶다. 아쉽게도 현대 건축물 중 이 정도의 시간을 이겨낼 만한 예가 잘 떠오르지 않는다. 하지만 분명하게도 콜로세움은 지난 2000년간 버텨 온 것처럼, 앞으로의 2000년도 잘 버틸 것 같다.
끝으로 중세 영국의 수도사가 쓴 시 한 구절을 인용하고자 한다. ‘콜로세움이 서 있는 한, 로마도 서 있을 것이다. 콜로세움이 무너질 때 로마도 무너질 것이다. 로마가 무너질 때 세계도 무너진다.’ 시인의 예견과 달리 로마제국이 무너진 후에도 콜로세움은 건재했고, 이 때문인지 세계가 무너져도 콜로세움은 계속 서 있을 것 같다. 총성만 없을 뿐이지 치열하게 경쟁하는 자본주의 경제체계는 앞으로 어떤 문화유산을 남길 것인지 궁금해하면서 콜로세움을 다시 바라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