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 오 차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브리핑을 갖고 “(각 대학이) 출석일수 등을 고려해 (개강) 날짜를 조정해 왔지만 더 이상 연기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달 말까지 대부분의 대학에서 수업 운영이 재개될 것”이라고 밝혔다. 교육부에 따르면 8일 기준으로 서울대 등 대학 16곳이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 순천향대를 제외한 39곳은 모두 이달 말까지 개강을 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학사일정 등을 감안할 때 개강을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는 것이 각 대학의 판단이지만 학교를 떠난 의대생들은 여전히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이를 감안해 경북대 등 개강한 대학 상당수는 온라인 자료만 다운 받아도 출석으로 인정해주거나 녹화 영상 시청을 수업으로 대체하고 있다. 본과 3, 4학년 실습은 중단 혹은 연기했다.
하지만 학생들이 계속 출석하지 않고 시험도 안 볼 경우 집단유급이 불가피하다. 오 차관은 “일률적으로 (데드라인이) 언제라고 말하긴 어렵지만 대학의 판단과 현재 상황으로 보면 (집단유급까지) 시간이 그리 많이 남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의료계에선 수업을 거부중인 본과 4학년이 실습 부족으로 국가고시 응시 자격을 못 얻을 경우 향후 의사 수급에 문제가 생길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오 차관은 “현실적으로 가능한 방식의 실습수업을 계획하고 공지하면서 학사 일정 운영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최예나 기자 yena@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