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임금격차는 OECD 최고

그래픽 동아DB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가 1000만 명에 근접하면서 전체 임금근로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최대로 올랐다. 다만 남녀 임금 격차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컸다.
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는 전년보다 28만2000명 증가한 997만6000명으로 1963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이는 60년 전인 1963년의 17.4배다. 지난해 전체 임금근로자 중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도 45.7%로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
여성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685만3000명으로 68.7%, 임시근로자는 280만3000명으로 28.1%, 일용근로자는 32만 명으로 3.2%를 차지했다. 이에 지난해 여성 임금근로자를 포함한 전체 여성 취업자는 1246만4000명이었고, 비중도 43.9%로 역대 최고였다.
세종=이호 기자 number2@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