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티이미지뱅크
1500여년 전 여우가 인간의 반려동물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옥스퍼드대·아르헨티나 진화연구소 연구팀은 10일(현지시간) ‘파타고니아의 파트너십, 멸종된 두시시온 아부스와 선사 시대 인류 공동체와의 상호작용’이라는 제목의 연구 논문을 영국 왕립학회 오픈 사이언스 저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해당 논문에서 1500년 전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카냐다세카 지역 수렵 채집인 무덤 내 동물 유골을 ‘두시키온 아부스’라고 특정했다.
연구팀은 DNA 분석, 형태학적 식별, 동위원소 분석 등을 진행했다. 그 결과, 이 동물이 인간과 비슷한 식생활 패턴을 유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두 포유류 간 삶과 죽음 사이에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는 의미다.
연구팀은 “두시키온 아부스를 인간이 먹었다는 흔적은 없다”며 “뼈의 보존 상태를 볼 때 이 동물은 야외에 방치된 게 아니라 고의로 매장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는 두시키온 아부스가 인간의 반려동물처럼 지낸 귀중한 개체였음을 나타내는 증거로 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그러면서 연구팀은 “이 공동 매장 기록은 멸종된 여우의 일부 표본이 인간과 공생 관계에 있었음을 나타낸다”고 전했다.
영국 BBC는 인간의 무덤에서 거의 완전한 형태의 여우 유골을 확인한 건 고고학계에서도 이례적인 일로 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김예슬 동아닷컴 기자 seul56@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