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매드맥스’ 조지 밀러 감독 첫 내한…“한국 사람들 영화 지식 많아”

입력 | 2024-04-15 18:36:00



‘매드맥스’ 시리즈를 연출한 조지 밀러 감독이 15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앞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포스터.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여전히 손에 땀을 쥐게 하고, 기대만큼 압도적이다. 액션 영화 ‘매드맥스’ 시리즈가 9년 만에 신작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로 돌아온다. 주인공 퓨리오사의 어린 시절부터 전작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2015년) 시점 직전까지 18년의 세월을 다룬 프리퀄(기존 작품보다 앞선 시기의 이야기를 다루는 속편)로, 다음 달 개막하는 제77회 칸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초청됐다. 국내에선 5월 중 개봉 예정이다.

시리즈 전편을 연출한 조지 밀러 감독(79)은 15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신작에 대해 “순수 시네마의 정수를 보여줄 작품”이라고 자부했다. 밀러 감독이 한국을 찾은 건 이번이 처음이다.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속 퓨리오사.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이날 기자간담회에 앞서 20분 분량의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가편집본도 상영됐다. 문명 붕괴 45년이 지난 후 황폐화된 세상에서 주인공 퓨리오사가 목숨을 걸고 고향으로 돌아가기 위한 여정을 떠나는 이야기다. 넷플릭스 드라마 ‘퀸즈 갬빗’으로 한국에서도 얼굴이 잘 알려진 애니아 테일러조이가 젊은 퓨리오사를 연기했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에서 토르 역으로 강렬한 인상을 남긴 배우 크리스 헴스워스가 새로운 빌런 ‘디멘투스’ 역을 맡았다. 퓨리오사를 엄마로부터 납치해 시타델의 임모탄(러치 험)에게 팔아넘긴 장본인으로 등장한다.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속 퓨리오사.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영화는 전편과 마찬가지로 폭발적인 카체이싱 액션신을 보여주면서도 이번에는 대사량이 크게 늘었다. 퓨리오사가 겪은 18년의 세월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다. 밀러 감독은 “(액션신은) 친숙하면서도 (대사량이 많아져)독특한 영화가 될 것”이라며 “이런 시리즈 영화를 만들 때 똑같은 형식을 답습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했다.

‘매드맥스’ 시리즈를 연출한 조지 밀러 감독이 15일 서울 용산구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답변하고 있다. 워너브러더스 코리아 제공

밀러 감독은 1979년 ‘매드맥스’를 시작으로 45년 동안 이 시리즈에 몰두해 왔다. 그는 의대를 졸업하고 정형외과 의사로 일하다가 영화감독이 된 특이한 이력을 갖고 있다. 그가 데뷔 이후 처음 평단의 인정을 받은 영화 ‘매드맥스’다. 밀러 감독은 그는 “제 평생 관객을 영화 안으로 끌어들이고자 했고 저 역시 조금씩 (영화에 대해) 더 이해해 나가고 있는 것 같다”고 했다. 또 “영화는 눈으로 보는 음악 같다”면서 “영화를 볼 때 오감의 많은 부분을 사용한다. 카메라의 움직임, 음향 등 모든 게 영화 속에 있기 때문에 영화를 완벽히 마스터했다고 할 사람이 아직 없는 것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달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시네마콘 2024 행사에서 가편집본을 처음 공개한 뒤 한국을 가장 먼저 방문했다. 그는 “(배급사인) 워너브러더스가 ‘(영화계에서) 한국은 정말 중요한 국가’라고 했다”며 “한국 사람들이 영화에 대한 지식이 굉장히 많아서 놀랐다. 도시마다 영화제가 있다고 들었는데 이런 문화를 통해 대단한 감독들이 배출되는 것 같다”고 했다. 그는 전날 봉준호 감독과의 만남을 언급하며 “(봉 감독처럼) 훌륭한 감독을 만나 대화를 나누는 것도 즐거운 경험”이라고 했다. 한국 방문이 처음인 그는 “전통 한식 식당에 갔는데 훌륭하고 환상적이었다. 음식을 너무 많이 먹었다”며 웃었다.

여든을 앞둔 백전노장이지만 밀러 감독은 여전히 새 작품 개봉을 앞두고 “자식을 세상에 내보내는 느낌이라 떨린다”고 했다. “영화는 제가 만들었지만 결국 이게 좋은 영화인지 말해주는 건 관객입니다. 제가 좋아하는 말이 있어요. ‘스토리가 나빴다면 내 잘못이다, 좋았다면 그건 관객 모두의 덕이다’라는 말이죠. 영화관을 나선 뒤에도 잔상이 남는 경험을 관객들이 한다면 큰 영광일 것 같습니다.”


최지선 기자 aurinko@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