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증환자 동네병원 회송 현장 전국 병원 5200곳과 네트워크 구축 전공의 이탈후 정부 지원금 확대… 삼성병원 회송 환자 두달새 18%↑ “수가제 개편 뒤따라야 정착 가능”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회송상담센터에서 이원희 씨(왼쪽에서 두 번째)가 집에서 가까운 병원에서 치료를 받기 위해 간호사와 상담하고 있다. 이 씨는 2020년부터 집에서 약 300km 떨어진 삼성서울병원에서 유방암 치료를 받았으나 이날 상담 후 거주지 인근 2차 병원에서 진료를 받기로 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저, 이 병원 졸업했어요.”
15일 오후 서울 강남구 삼성서울병원 회송상담센터.
2020년 유방암 수술을 받은 이원희 씨(63·여)는 간호사와 상담을 마친 뒤 웃으며 일어났다. 이 씨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지만 이후 경과 관찰을 위해 퇴원 후에도 6개월마다 병원을 찾아 검사를 받아야 했다.
● 환자 돌려보내면 지원금 준다
복지부는 또 2월 중순 전공의(인턴, 레지던트)들이 대거 병원을 이탈하자 대형병원을 응급·중증 환자 위주로 전환하면서 경증 입원 환자를 중소형 병원에 보낼 때 지원금을 늘려 대형병원과 중소형 병원에 건당 각각 9만 원 이내를 주고 있다.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경증 환자 회송을 위해 전국 병원 약 5200곳과 네트워크를 구축한 상태다. 급성 치료가 끝났거나 경증인 환자가 회송 대상이다. 이 병원은 이날 진료를 받던 70대 간암 환자의 복수천자(복수를 빼내는 것) 시술을 동네 병원에 의뢰하기도 했다. 이 병원 회송센터 관계자는 “(전공의 이탈 후) 응급실이 포화 상태다 보니 대여섯 시간 기다려야 시술을 받을 수 있다”며 “마침 대기가 필요 없는 환자 거주지 인근 병원이 있어 연락해 예약까지 잡아줬다”고 했다.
● “응급·중증 중심 진료 정착돼야”
회송은 환자가 동의해야 할 수 있다. 그러다 보니 안심하고 집과 가까운 동네 병원으로 향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양지혁 삼성서울병원 파트너즈센터장(심장혈관흉부외과 교수)은 “회송 후에도 삼성서울병원과 같은 양질의 진료를 받을 수 있다는 안심을 줘야 한다”며 “이를 위해 협력 병원들에 진료 프로토콜과 노하우를 공유하고 있다”고 했다. 회송 환자의 증세가 악화되면 다시 이송돼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패스트트랙’도 마련했다.
가벼운 질환은 동네 병원에서 맡고 응급·중증 환자만 대형병원을 찾게 하는 의료전달체계 정상화는 국내 의료의 오랜 과제였다. 복지부는 그동안 대형병원의 경증 환자 비율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진 못했다.
하지만 전공의 이탈 후 대형병원이 비상진료 체계로 전환되며 의사들 사이에선 “의도치 않게 의료전달체계 개선이 이뤄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