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먼저 목욕탕 발달했던 곳은 5000여년 전 파키스탄-인더스강 파미르고원엔 온돌과 건식 사우나 한반도-만주 온돌서 기원 가능성 한국은 고대목욕탕 흔적 출토안돼… 물 깨끗해 하천에서 목욕 즐긴 듯
깨끗한 샘물에서 목욕하면 병이 낫고 다시 젊어진다는 믿음은 동서를 막론하고 있었다. 독일 화가 루카스 크라나흐의 ‘젊음의 분수’(1546년). 왼쪽의 늙고 지친 사람들이 찾아와서 목욕을 하고 오른쪽의 젊어진 모습으로 나간다. 목욕을 둘러싼 인간의 욕망을 표현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
《세계 각지 문명 ‘목욕의 역사’
21세기가 되면서 바뀐 수많은 우리의 생활 중 하나는 목욕이다. 대중목욕탕에서 며칠에 한 번씩 씻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어느덧 목욕과 샤워는 빼놓을 수 없는 하루의 일과가 되었다. 우리는 언제부터, 그리고 왜 몸을 씻을까. 고고학이 밝혀주는 목욕의 역사를 살펴보자.
목욕의 시작은 몸의 더러움과 감염을 유발하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자연스러운 동물적인 습관에서 유래했다. 흔히 ‘고양이 세수’라는 말처럼 동물들도 몸에 묻은 것을 털어내는 행동을 한다. 심지어 바퀴벌레 같은 곤충들도 이물질을 털어내는 행동을 반복한다.》
몸을 씻기 위해서 햇빛에 건조하거나 연기로 훈증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목욕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경우는 지역과 문화에 따라서 매우 제한적이었다. 목욕하기 적절한 계절도 드물었고 물과 접촉하면 각종 병이 옮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 하천이 대부분 매우 맑은 편이지만 물이 귀한 유라시아 초원 일대로 오면 사정이 달라진다. 진흙투성이의 강이 대부분이며 고여 있는 경우는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심하다. 사람이 모여 사는 마을과 도시가 발달할수록 인간은 물론 가축이 함께 살면서 배출되는 오물 때문에 제대로 된 상하수도가 없는 경우에 물의 오염은 심각해진다. 지금도 콜레라나 이질 같은 전염성 높은 수인성 전염병은 사람들의 평균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한 원인이다.
몸에 작은 상처가 있는 경우 자칫하면 강에서의 목욕이 심각한 감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나 역시 러시아 유학 시절 시베리아에 발굴을 하러 갔다가 뺨에 모기 물린 상처가 있는 채로 호수에서 목욕한 적이 있다. 며칠 뒤 감염이 심해져 입원해야 했다. 항생제가 없었던 과거에는 강이나 하천에 몸을 담그고 나서 탈이 나 목숨을 잃는 경우도 종종 있었을 것이다. 세계 곳곳에 있는 물에 귀신이 살고 있다는 두려움은 상당수 이러한 더러운 물로 인한 폐해 탓도 있을 것이다.
인더스 문명 모헨조다로 유적의 목욕탕. 파키스탄 중남부에 있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마야인의 목욕 장면을 묘사한 그림.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한편 중국은 상나라 때의 갑골문에 목욕을 의미하는 목(沐)과 욕(浴)이 등장하고 춘추시대에는 목욕탕을 뜻하는 한자 벽(湢)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전국시대에도 목욕탕의 흔적이 발견된다. 하지만 이는 귀족의 전용일 뿐이었다. 한국에선 고대 목욕탕의 증거가 아직 출토되지 않았다. 물이 상대적으로 깨끗해 하천에서 씻었을 것이다. 건식 사우나와 같이 바닥을 뜨겁게 달구는 온돌이 발달했던 것도 목욕탕이 발달하지 않은 이유일 수 있다. 이렇듯 목욕과 건식 사우나는 그 형태는 각기 달라도 세계 전역에서 거의 동시에 유행했고, 지금도 대중목욕탕으로 이어지니 우리의 목욕은 인류 문명과 함께한 셈이다.
타지키스탄 두샨베 국립박물관에 전시된 4세기 욕조. 실크로드에서 발견됐다. 강인욱 교수 제공
여기에 더하여 바닥에 온돌을 설치해 마룻바닥을 통해 뜨거운 증기를 쐬는 건식사우나실도 발견되었다. 왕궁의 처소 한가운데에는 목욕을 즐기면서 공연을 볼 수 있는 시설도 만들었다. 목숨을 걸고 파미르와 톈산(天山)산맥의 험한 실크로드를 넘어선 사신과 상인들이 목욕을 즐기면서 공연을 본다면 크게 즐겁지 않았을까.
목욕에 대한 열망은 인류의 역사를 이끌어왔고 또 함께했다. 목욕의 또 다른 장점은 서로의 친밀도를 높이는 데에 있다. 기성세대라면 형제나 부자가 함께 목욕하며 서로의 몸을 닦아준 기억이 있을 것이다. 목욕은 단순한 위생적인 목적을 떠나서 서로의 몸을 쓰다듬으며 친해지는 ‘그루밍’으로 인간 공동체를 일구어내는 비결이기도 했다. 그러나 물이 흔해지고 목욕도 개인화되면서 어느덧 사라지는 기억이 되고 있다.
분명한 것은 우리처럼 깨끗한 물을 아무 때나 얻을 수 있는 나라는 극히 일부라는 점이다. 지금도 수많은 나라에서는 물의 부족과 수인성 전염병으로 고통받고 있다. 최초의 목욕탕 문화를 발달시킨 인더스 문명은 약 3500년 전 갑자기 멸망했다. 그들의 젖줄이었던 인더스강이 범람하여 전염병이 창궐하고 물길이 바뀌면서 그들의 찬란한 문화도 순식간에 사라졌다. 물은 가장 고마운 존재인 동시에 환경이 오염되면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 무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바로 인더스 문명이 증명했다. 목욕을 할 수 있음에 감사해야 하는 이유이다. 우리가 당연한 듯 즐기는 목욕은 인간 문명의 결정이며 또한 언제라도 사라질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인 셈이다.
강인욱 경희대 사학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