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독립영화의 가치[정덕현의 그 영화 이 대사]〈4〉

입력 | 2024-04-23 23:24:00


“내 일이잖아. 근데 왜 네가 다 알아서 해?”

―정지혜 ‘정순’





정말 오랜만에 독립영화를 보러 갔다. 멀티플렉스에서도 가장 작은 29석 상영관에서 ‘독립적으로’ 나 홀로 영화를 봤다. 영화는 정지혜 감독의 ‘정순’. 전 세계 19개 영화제 초청을 받고 무려 8관왕을 달성한 작품이었다. 만일 이런 해외 수상 이력이 없었다면 이 독립영화가 멀티플렉스에 걸릴 일은 없었을 터였다. 영화는 좋았다. 저예산 티가 팍팍 났지만, 그래서인지 자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독립영화 특유의 뚝심이 감동적일 정도였다.

영화는 공장에서 일하는 중년 여성 정순(김금순)이 디지털 성범죄를 겪으며 변화해 가는 과정을 담는다. 차별과 희롱이 일상화된 공장에서 별 문제의식 없이 시키는 대로 살아왔던 정순은, 이 지옥을 통해 차츰 스스로 삶의 주도권을 잡아나가는 변화를 보여준다. 디지털 성범죄가 소재지만, 영화는 그 사안에만 멈추지 않고 중년 여성으로서 일터에서는 이모로, 집에서는 엄마로 불리던 정순이 자기 이름으로 서는 과정으로 서사를 확장시켰다. 제목이 ‘정순’인 이유다. 정순의 변화를 극적으로 보여주는 대목은 엄마의 디지털 성범죄 피해에 분노한 딸이 어떻게든 끝까지 가해자들을 처벌하겠다며 자신이 다 알아서 하겠다고 말하자 정순이 버럭 화를 내는 장면이다. “내 일이잖아. 근데 왜 네가 다 알아서 해?” 정순은 각성하고 변한다. 첫 등장에 딸이 모는 차의 조수석에 앉아 있던 정순이 영화 마지막에 익숙하지 않지만 운전석에 앉아 있는 모습이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정순이라는 인물이 자기 이름을 찾아가며 삶의 운전대를 스스로 쥐는 모습은 마치 ‘독립영화’가 가진 가치에 대한 이야기로도 읽힌다. 자본의 논리에 운전대를 맡긴 채 만들어질 수밖에 없는 상업영화들 속에서 스스로 운전대를 잡겠다는 독립영화의 의지가 정순이 앉은 운전석에서 느껴져서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