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은행연체율 4년9개월만에 최고… 새마을금고 ‘비상등’

입력 | 2024-04-25 03:00:00

기업-가계대출 연체율 모두 상승
금융당국 “관리 가능한 수준”… 고금리 지속땐 심각해질 수도
새마을금고 7%대까지 치솟아… 2000억규모 부실채권 매각추진




국내 은행의 연체율이 올해 2월 말 기준 0.5%를 넘기면서 4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았다. 금융당국은 현 상황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 있지만 고금리와 경기 침체가 더 길어질 경우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연체율이 7%를 넘어선 새마을금고는 2000억 원 규모의 부실 채권을 추가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 “고금리에 빚 못 갚아”… 기업대출 ‘불안’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원화 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은 0.51%로 전월 말(0.45%) 대비 0.06%포인트 올랐다. 2019년 5월(0.51%) 이후 가장 높다.

부문별로는 기업대출에서 연체율 상승이 두드러졌다. 2월 말 기준 0.59%로 전월 말(0.50%) 대비 0.09%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0.70%)이 0.10%포인트 올랐고, 대기업대출 연체율(0.18%) 역시 0.06%포인트 높아졌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전월 말(0.38%)보다 0.04%포인트 오른 0.42%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0.27%)의 상승 폭(0.02%포인트)은 상대적으로 작았지만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이 0.84%로 0.10%포인트 뛰었다.

● 고금리·경기 침체 장기화가 관건

금감원은 국내 은행의 연체율이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전과 비교하면 연체율이 낮고 손실 흡수 능력도 크게 개선됐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국내 은행의 손실 흡수 능력을 보여주는 대손충당금 적립률은 지난해 말 기준 214%로 2017년 말(93.6%)의 두 배 이상으로 상승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0∼2019년의 장기 평균 연체율(0.78%)과 비교하면 연체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며 “은행들이 통상 분기 말에 연체채권 정리를 강화하는 만큼 3월 말 연체율은 내려갈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문제는 금리 인하 시기가 예상보다 늦춰질 가능성이 커지면서 고금리, 고물가로 인한 경기 침체도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경기 침체로 소득이 제자리걸음인 상황에서 물가는 연일 오르고 고금리도 이어지고 있다”며 “지금 상태로도 연체율은 오를 수밖에 없는데 주택 가격이라도 더 하락하게 되면 상황이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 “새마을금고, 저축은행 등 특별관리 해야”

한편 올해 2월 연체율이 7%대까지 급등한 것으로 알려진 새마을금고는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2000억 원 규모의 부실 채권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새마을금고의 요청으로 캠코에서 부실 채권 인수를 검토 중”이라며 “구체적인 규모 등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전했다.

새마을금고는 연체율 관리를 위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을 해소하려 했지만 매수 의향자와의 가격 견해차로 별다른 소득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캠코는 지난해에도 약 1조 원 규모의 새마을금고 부실 채권을 인수하며 연체율 하락에 도움을 준 바 있다. 올해 들어서도 새마을금고 연체율 상승세가 이어지자 캠코가 다시 한 번 구원투수로 나선 것이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은행권 전체의 평균 지표만 보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지만 새마을금고나 저축은행 등 PF 대출 부실의 여파가 크고 연체율이 급등하는 그림자금융권(비은행권)은 당국의 특별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순구 기자 soon9@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