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심정지 환자 등 이송대책 마련 당직 근무할 전문의 확보가 관건
앞으로 응급환자를 병원으로 이송할 때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이 병원 선정을 지원한다. 행정안전부와 보건복지부, 소방청은 응급환자가 치료할 병원을 찾지 못한 채 떠도는 ‘표류’를 막기 위해 환자 이송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했다고 28일 밝혔다.
병원 의료진이 사용하는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TAS)’에서 심정지, 중증외상 등 가장 높은 1단계 응급환자를 이송하거나, 1차 진료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길 경우 앞으론 복지부 중앙응급의료센터 산하 4개 권역(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의 광역응급의료상황실에서 병원 선정을 지원한다.
그간 119구급대는 현장에서 이송할 병원을 정할 때 개별 병원에 일일이 전화하거나 119구급상황관리센터를 통해 이송병원이 정해질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 1차 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응급환자를 이송할 때도 병원 간 자체 연락을 통해 기다릴 수밖에 없었다. 이번 개선방안이 마련되면서 119구급대원이 중증응급환자를 대기없이 신속하게 이송하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러한 개선 대책을 지원하는 광역응급의료상황실과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당직을 설 응급의학과 전문의를 어떻게 구할지가 관건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광역응급의료상황실의 경우 전공의 집단행동 이후 정부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체계를 가동해 공보의와 군의관 등을 차출해 빈 근무 스케줄을 채우고 있다. 하지만 의료 공백 사태가 종료돼 이들이 복귀하면 전문의를 구하는 데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19구급상황관리센터도 상황이 비슷하다. 시도마다 당직을 설 지도의사를 1명씩 구하지 못해 부산과 울산 경남 지역을 의사 1명이 동시에 대응하는 식으로 운영 중이다. 2022년 말 기준 전국에서 동시에 근무하는 지도의사는 13명이다. 정부 계획대로 KTAS 1, 2단계에 해당하는 환자 약 50만 명이 전부 이송되기 전 의료지도를 받으려면 의사 1명당 하루 환자 약 100명을 관리해야 하는 셈이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장은 “응급실 근무 기피 현상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꼽히는 의료사고에 대한 의료진의 법적 책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앞으로도 인력을 구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