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노골화하는 이재명의 ‘일극 정치’

입력 | 2024-05-15 23:27:00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생경제 위기 극복을 위한 추경(추가경정예산안) 편성에 정부와 여당이 적극 나서기를 거듭 촉구한다”며 “정부 여당이 끝내 불응한다면 제1야당으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특단의 대책을 강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오른쪽부터 진성준 정책위의장, 박 원내대표, 박성준 원내운영수석부대표, 김용민 원내정책수석부대표. 이훈구 기자 ufo@donga.com


더불어민주당이 22대 국회 상임위원장 배분에서 ‘3선 의원 이상 나이순’이던 기존 관례를 깨고 3선만 되면 나이 상관없이 ‘전문성과 실력’을 우선으로 결정하기로 했다고 한다. 당론 법안의 신속 통과 같은 성과를 낼 인물들로 배치하겠다는 것인데, 그러다 보니 주요 상임위원장 후보로 강성 친명(친이재명)계 인사들이 줄줄이 거론된다. 당내에선 “결국 상임위원장도 ‘강성’을 기준으로 따지겠다는 것이냐”는 우려가 나온다. 7∼8월 시도당 대의원대회를 앞두고 지역 조직을 총괄하는 시도당위원장에도 주로 친명계 간 경쟁이 치열하다고 한다.

4·10총선 이후 민주당을 보면 사실상 이재명 대표와 친명계 일색의 ‘이재명 일극(一極) 체제’를 완성해 가는 분위기다. 친명을 넘어 ‘찐명’으로 불리는 인물이 원내대표 선거 단독 후보로 나와 사실상 추대된 데 이어 오늘 국회의장 경선을 앞두고선 친명계가 나서 다른 친명 후보 2인을 주저앉히고 초강성 후보를 밀고 있다. 그러니 원내대표와 국회의장, 상임위원장, 시도당위원장까지 오직 이 대표의 뜻에 따른 친명 독주체제가 만들어지고 있는 셈이다. 석 달 뒤 전당대회를 앞두고 나온 ‘또 대표는 이재명’(또대명)이란 연임론도 이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이번 총선을 계기로 친명계가 당의 확실한 주류로 자리 잡았다지만 이런 일사불란한 체제가 정상적일 수는 없다. 당내에선 친명 일체화의 폐해와 그 여파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른바 ‘대립군(代立軍·군역을 대신해 주는 사람) 국회의장’ 추대론을 두고선 “어떻게 야당 대표가 대한민국 서열 2위를 결정하느냐”는 비판이 나왔다. 중립성을 잃은 의장의 편파적 국회 운영은 정부의 거부권과 여당의 결집, 여론의 역풍을 부를 수밖에 없다.

작금의 이재명 체제에서 당내 민주주의가 실종되고 있다는 목소리는 안팎의 강성 세력에 압도당하기 일쑤다. 이 대표 지휘 아래 압도적 승리를 이뤘다는 신화만 지배한다. 이런 모습은 다양성을 토대로 통합을 추구하면서 외연을 확장하던 민주당의 오랜 전통과도 거리가 멀다. 브레이크 없는 친명의 질주는 갈수록 지지층의 기반을 좁힐 뿐이다. ‘이재명에 의한, 이재명을 위한, 이재명의 민주당’으론 민주도 역사도 국민도 함께하기 어렵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