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사설]취업도 실업도 고령층이 가장 많이 늘어난 ‘슬픈 고용시장’

입력 | 2024-05-17 23:27:00


지난달 한국의 고용률이 4월 기준으로 40여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은퇴 후 소득이 부족해 쪼들리는 60세 이상 고령자들이 한 푼이라도 더 벌기 위해 노동 현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어서다. 그러다 보니 모든 연령층 가운데 고령 취업자 수가 제일 많이 증가했고, 동시에 구직활동을 하는데도 일자리를 찾지 못한 고령 실업자 수도 많아지고 있다. 늙어가는 고용 시장의 슬픈 단면이다.

통계청의 4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의 고용률은 63%로 전년 동월 대비 0.7%포인트 상승했다. 15세 이상 인구 10명 중 6명 넘는 이들이 일한다는 의미다. 관련 통계가 만들어진 1982년 7월 이후 4월 기준으로 가장 높다고 한다. 취업자 수도 1년 전보다 26만 명 넘게 증가했다.

특히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9만2000명 증가했다. 몇 년 새 고령층에 합류한 1955∼1963년생 베이비붐 세대들이 은퇴 후에도 노동현장에 머무르거나 다시 돌아오고 있다. 고령층 가운데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이들도 늘어나면서 60대 이상에서 늘어난 실업자 수 역시 3만9000명으로 모든 연령층 중에서 가장 많았다. 반면 15∼29세 청년 취업자 수는 8만9000명 감소하면서 18개월 연속 뒷걸음질을 쳤다. 청년인구 자체가 감소한 데다 마음에 맞는 일터를 찾아 현장에 뛰어드는 시기도 늦어지고 있어서다. 40대 취업자도 9만 명 줄어들었다.

문제는 이런 흐름이 더욱 가속화할 것이란 점이다. 한국 사회는 올해 말이면 65세 이상 인구의 비중이 전체 인구의 20% 이상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 평균 수명은 길어지고, 건강 상태까지 좋아지면서 오래 일하길 원하는 노인층은 더 많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나이가 많을수록 더 많은 월급을 줘야 하는 경직적 연공서열식 임금체계 때문에 기업들은 법정정년 60세 이후 근로자의 ‘계속고용’을 주저하고 있다.

한국의 노동계는 무리하게 법정정년 연장을 요구하는 대신 임금제도의 유연성을 높여 기업과 고령 근로자 양쪽에 모두 ‘윈윈’이 되는 길을 찾을 필요가 있다. 그래야 기업들이 청년층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를 계속 만들면서도 일하기를 원하는 고령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