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국회 막판 ‘연금 충돌’] 핵심 보험료율 13%로 인상은 합의 “요율 올린뒤 소득대체율 조정 가능”
2024.1.3 뉴스1
국민연금이 지금처럼 유지되면 현재 1000조 원이 넘게 적립된 기금은 2055년 모두 소진되고 이후 소득의 26.1%를 보험료로 내야 할 전망이다. 저출산 고령화로 연금 낼 사람은 줄고 받을 사람은 늘면서 보험료율은 계속 인상돼 2078년에는 소득의 35%를 보험료로 내야 할 것으로 추산된다. 노후에 같은 비율의 연금을 받기 위해 미래 세대가 현 세대(9%)의 3, 4배나 되는 보험료를 내야 하는 것이다.
보건복지부가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여당이 주장하는 소득대체율 44%를 적용할 경우 적립금 고갈 시점은 2064년으로 9년 늦춰지게 된다. 야당이 주장하는 소득대체율 45%를 적용할 경우 이보다 1년 빠른 2063년에 적립금이 고갈된다. 누적 적자는 현재 대비 각각 3738조 원, 2766조 원 줄어든다.
전문가들은 가장 중요한 보험료율 인상의 경우 여야가 현재 소득의 9%에서 13%로 올리는 것에 동의한 만큼 여야 어느 안이든 통과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보험료율 인상이 실현된다면 1998년 이후 26년 만이 된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1, 2차 베이비붐 세대(1955∼1974년 출생)가 이미 은퇴하기 시작했다”며 “한 해 한 해가 급한 시점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연금개혁이 1년 지체될 때마다 추가 국민 부담액이 수십조 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한다.
이지운 기자 easy@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