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전동킥보드 사고 계속 증가하는데…이용자 절반 안전 기준 미준수”

입력 | 2024-05-30 10:37:00

전동 킥보드를 탄 학생들이 위험한 운행을 하고 있다. 2023.8.10.뉴스1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등의 개인형 이동장치(PM)가 일상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하면서 관련 사고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봄철부터 개인형 이동장치 이용자들이 더욱 늘어나는 만큼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나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높아지고 있다.

30일 도로교통공단의 교통사고분석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4년간 발생한 개인형 이동장치(PM) 교통사고는 총 7407건으로, 이로 인해 79명이 사망하고 8192명이 부상을 입었다. 뿐만 아니라 2020년 897건이었던 교통사고 건수도 지난해 2389건으로 약 2.6배 이상 증가했다.

악사손보가 지난해 만 19세 이상 운전면허 소지자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3 운전자 교통 안전 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개인형 이동장치 탑승 시 안전 기준을 준수하거나 혹은 준수하는 것을 본 적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과반에 가까운 47.8%가 안전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안전 기준 미준수 사례로는 헬멧 등 안전 보호장구 미착용(84%, 중복응답), 동승자 탑승(67.4%), 원동기 면허 이상 운전면허증 미소지(29.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악사손보, 2023년 운전자 교통 안전 의식 조사 결과/사진제공=악사손보

이 같은 결과는 2022년 조사 결과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보였다. 2년 전에도 개인형 이동장치 탑승 또는 목격 시 주요 위반 사례로 헬멧 등 안전 보호장구 미착용 (87.7%), 동승자 탑승(67.2%)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위험한 행위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5명 중 2명(42.7%)은 정부의 안전 관리 및 감독 강화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이어 이용자 안전교육 강화(35.9%), 주행공간 개정(자전거도로 주행 허용 등, 21.1%)이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43.3%), 40대(43%), 50대(42.9%) 모두 ‘정부의 안전 관리 및 감독 강화’를 1위로 꼽았지만, 20대만 유일하게 ‘이용자 안전교육 강화’(43.8%)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형 이동장치의 주 이용층이라 할 수 있는 20대는 정부의 규제만큼이나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이용자 개인의 인식 및 주의가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반면 강화된 개인형 이동장치의 안전 기준에 대한 인식 수준은 응답자 중 93.1%가 알고 있다고 답하며 매우 높게 나타났다. 헬멧 등 안전 보호장구 착용 의무화(79.4%, 중복응답), 동승자 탑승 금지(65.5%), 약물, 과로 운전 금지(38.1%) 등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전체 응답자 중 약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안전 기준을 준수하지 않는 것과는 상반된 내용으로, 높은 개인형 이동장치 인식 수준에 비해 실제 안전 기준 준수는 상대적으로 가볍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악사손보 관계자는 “이번 조사를 통해 개인형 이동장치가 편리한 교통수단으로 자리매김함에 따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라도 제도 보완 및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점을 알 수 있다”라며 “전동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 안전 기준 준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 또한 커지고 있는 만큼, 보다 안전한 교통 문화와 환경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서 악사손보도 적극적으로 함께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