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외교 차관보 “北 몰상식한 도발에 국제사회 단합된 메시지 필요”

입력 | 2024-06-08 20:23:00

APT·EAS·ARF 회원국에 "北자금원 차단 위해 함께 노력"
"한-아세안 관계 격상, 모든 분야 한 단계 더 도약 계기"



ⓒ뉴시스


정병원 외교부 차관보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고위관리회의(SOM)에 연이어 참석해 북한의 몰상식한 도발을 규탄하고 아세안을 포함한 국제사회의 단합된 메시지가 필요하다고 거듭 밝혔다.

8일 외교부에 따르면 정 차관보는 7~8일(현지시각)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개최된 아세안+3(APT), 동아시아 정상회의(EAS), 아세안 지역안보포럼(ARF) SOM에 우리 측 수석 대표로 참석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1월 라오스가 아세안 의장국을 맡은 후 아세안 10개국과 대화 상대국 10개국, EAS·ARF 회원국이 한 자리에 모인 첫 회의다. 오는 7월 외교장관 회의와 10월 정상회의를 앞두고 아세안 내 진행 중인 각종 협력사업을 점검하고 주요 지역·국제 정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기 위해 마련됐다.

APT는 1997년 금융 위기 공동 대응을 계기로 출범한 아세안 10개국 및 한·중·일 간 회의체다.

EAS는 2005년 역내 정치·안보 현안에 대한 주요국 정상들 간 전략적 협의체로 출범했고 현재 아세안과 한·일·미·중·호주·뉴질랜드·인도·러시아 등 18개국이 참여한다.

ARF는 북한이 유일하게 참여하는 아태 지역 다자안보 협의체다. 이번 회의에 북한 측에선 리영철 주라오스 대사가 참석했다.

정 차관보는 7일 APT SOM에서 지난달 27일 개최한 제9차 한일중 정상회의의 결과를 공유하며 “3국 협력의 재활성화가 APT 발전에 긍정적 동력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치앙마이 이니셔티브 다자화(CMIM) 개편 등 우리나라가 주도한 APT 재무장관회의의 주요 성과 ▲APT 비상쌀비축제(APTERR)의 최대 기여국으로서 우리의 활동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KADIF) 및 한-아세안 메탄 행동 파트너십(PARMA) 등 한-아세안 연대구상(KASI)의 핵심 사업을 소개했다.

각국 대표들은 3국 협력 체제의 복원을 높이 평가하고 금융·식량안보·녹색경제·디지털 전환 등 APT 내 분야별 실질 협력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정 차관보는 6~7일 진행된 EAS·ARF SOM에서는 “세계적 복합위기 속 인도·태평양 지역 주요국들이 참여하는 아세안 주도 메커니즘의 중요하다”면서 KASI을 통한 한국 정부의 대(對) 아세안 협력 강화 의지를 강조했다.

그는 특히 “올해 대화관계 수립 35주년을 맞아 추진되는 한-아세안 관계 격상(포괄적 전략동반자 관계·CSP)은 한-아세안 협력이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분야에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CSP는 아세안이 대화 상대국과 수립하는 최고 단계 파트너십으로 현재까지 호주·중국(2021년), 미국·인도(2022년), 일본(2023년)이 아세안과 수립했다. 오는 10월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 간 CSP 수립 발표를 추진 중에 있다.

정 차관보는 각 회의를 계기로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대남 오물풍선 살포 등 불법적 도발에 대해 “몰상식하고 비이성적 행위”라며 강력 규탄했다.

그는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 중단과 비핵화를 위해 국제사회가 분명하고 단합된 대외 메시지를 발신해야 한다”면서 “특히 철저한 대북제재 이행과 북한의 가상자산 탈취 단속 등 핵·미사일 개발 자금원의 차단을 위해 APT·EAS·ARF 회원국들이 함께 노력해 나가자”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서 북한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주도해 나갈 것”이라면서 APT·EAS·ARF 회원국들의 관심과 지지를 당부했다.

다수의 ARF 회원국들은 북한의 지속되는 핵·미사일 개발과 도발 등 긴장 고조 행위에 대해 우려를 표하고 유엔 안보리 결의 준수와 대화·외교를 통한 문제 해결 노력을 강조했다.

한편 정 차관보는 이번 회의 참석 계기에 라오스 및 호주 SOM 대표와 각각 양자 면담을 갖고 KASI을 통한 구체 협력, 7월 아세안 외교장관회의 및 10월 정상회의 준비 동향 등에 대해 협의했다.

[서울=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