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는 죽었어.”
―김태용 ‘원더랜드’
2003년 방영된 드라마 ‘다모’는 이른바 ‘다모 폐인’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었다. 마치 폐인처럼 드라마에 빠져들었던 시청자들이 만든 말이다. 2019년에 방영된 대만 드라마 ‘상견니’는 ‘상친자(상견니에 미친 자)’라는 말을 만들었고, 최근 종영한 ‘선재 업고 튀어’는 ‘선친자’라는 말을 남겼다. 폐인이니 미친 자니 하는 말들은 본래 부정적인 표현이지만, 이들 과몰입을 말하는 데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인다. 무언가에 깊이 빠져드는 ‘과몰입’의 시대를 잘 말해 주는 대목이다.
김태용 감독의 ‘원더랜드’는 죽은 사람의 의식을 인공지능으로 복원하는 ‘원더랜드’ 서비스가 일상이 된 근미래를 배경으로 한 SF 영화다. 이 기술로 죽음의 의미는 달라진다. 죽은 후에도 인공지능을 통해 망자와 함께 살아가는 새로운 일상이 펼쳐진다. 곧 다가올 자신의 죽음을 어린 딸에게 알려주지 않으려는 엄마나, 혼수상태에 놓인 남자친구를 너무나 그리워하는 여자친구, 손주를 먼저 떠나보낸 할머니 같은 이들이 서비스를 신청한다. 그리고 살아간다. 마치 죽음이 없던 것처럼.
“엄마는 죽었어.” 영화에서 인공지능을 진짜처럼 여기는 딸에게 아이러니하게도 인공지능이 그렇게 고백하자 딸은 아무렇지도 않다는 듯 “그래도 자기 전에 책 세 권 읽어 줄 수 있어?” 하고 묻는다. 딸의 엄마에 대한 그리움과 더불어 과몰입의 섬뜩함이 느껴지는 장면이다.
이제 가상과 현실의 경계는 점점 흐려지고 있다. 그건 가상을 현실처럼 재현하는 기술의 발전만이 아니라, 가상을 현실처럼 받아들이는 과몰입의 일상화가 불러온 것이기도 하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