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재 한국농어촌공사 부사장
배고픈 시절을 상징하던 보릿고개가 옛날 이야기가 돼 버린 것은 사실 50년도 채 되지 않는다. 1950년 6·25전쟁으로 농업 경제는 붕괴됐고 1960, 70년대에도 농업 생산은 부족해 추수가 끝나고 보리가 수확되는 동안 배를 곯아야 했다. 1980년대가 돼서야 비로소 정부의 쌀 절약 정책과 함께 기존 벼보다 생산성이 30% 높은 통일벼가 국토에 퍼지면서 식량 자급을 이룰 수 있었다.
식량안보를 위한 농업의 중요성을 알기에 산업화, 정보화 시대에도 농업 지원 정책은 계속됐다. 쌀 직불금으로 농가 소득을 보존했고 한국농어촌공사를 주축으로 농어촌 정주(定住) 여건을 개선하고 안전한 영농환경을 구축하는 등 농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힘써 왔다.
하지만 농업과 농촌 위기는 여전하다. 가장 주된 요인은 농업 인기가 감소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농림어업 종사자는 전체 인구 5.2%에 불과하고 40세 이하 농업인은 1%를 넘지 못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위기, 고령화와 저출산에 따른 인구 감소같이 농업과 농촌을 위협하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약화된 농업 경쟁력은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한 위기에 직면하게 했다. 이 위기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심도 있는 고민이 필요하다. 보릿고개를 어떻게 넘을지가 과거 주요한 고민이었다면 지금은 여러 위기에 대응하는 종합적인 해결책을 그려 내야 할 때다.
가장 먼저 농업 기술력을 발전시켜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인 지금은 농업 경쟁력을 키울 수 있는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농업인이 쉽게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끊임없이 개발하고 지원하며 보급해야 한다. 동시에 농촌 난개발을 방지하고 농촌 공간 재구조화와 재생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이 시행될 수 있도록 힘을 쏟아야 한다. 사람들이 살고 싶어 하는 새로운 공간 조성은 농촌 고령화와 지역 소멸을 예방하면서 안정적인 농촌과 농업 정착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갈 것으로 예상된다.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서 미래를 예측하는 건 쉽지 않지만 농업과 농촌의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국가적인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에 옮겨야 할 때다. 정부 및 지역사회, 학계를 비롯해 온 국민이 새로운 농업 패러다임을 창조할 수 있도록 역량을 모으고 더 고민해야 한다.
이승재 한국농어촌공사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