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소유… 黨노선에 맞춰 관리” 관리조례 공포… 10월부터 시행 中 생산량, 전 세계 70% 차지
중국 당국이 ‘첨단산업의 쌀’로 불리는 희토류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전 세계 희토류 생산량의 7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는 만큼 희토류를 통한 중국의 자원 무기화 전략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달 29일 리창(李强) 중국 총리는 ‘희토류 관리 조례’를 공포하는 국무원 명령에 서명했다고 이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2021년 1월 희토류 관리 조례 초안이 공개된 뒤 3년여 만이며, 10월 1일부터 본격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총 32개로 이뤄진 세부 조항을 살펴보면 희토류는 국가 소유로서 어떤 조직이나 개인도 자원을 점유할 수 없고, 현(縣)급 이상 지방 정부가 지역의 희토류 관리를 책임진다. 정부 주관 부처가 희토류 채굴과 제련·분리의 총량을 규제하고, 각 기업은 생산한 희토류 제품의 추적 정보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희토류는 자동차, 의료기기, 무기 등 최첨단 제품에 들어가는 17가지 희귀 광물이다. 중국은 생산량 기준 전 세계 시장의 70%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공 및 정제 산업까지 포함하면 90%에 육박해 사실상 독점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12월 희토류 관련 기술을 ‘수출 금지 기술 목록’에 포함시켰고, 4개월 전인 같은 해 8월에는 반도체 핵심 원료인 갈륨과 게르마늄 등에 대한 수출도 통제했다.
미국도 중국의 자원 무기화 움직임에 맞서 수년째 희토류 공급 다변화를 꾀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보조금 지급을 통해 자국 내 희토류 정제 공장을 재가동했고, 희토류 매장량이 많은 베트남, 브라질 등과의 협력을 통해 독자적인 공급망을 확보해 가고 있다. 이런 영향으로 지난해부터 희토류 국제 가격이 떨어지고, 중국 내 희토류 기업들의 순이익도 크게 줄어드는 추세다.
베이징=김철중 특파원 tnf@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