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렌드 생활정보 International edition 매체

‘영끌-빚투’ 다시 꿈틀… 가계대출 나흘만에 2조2000억 늘었다

입력 | 2024-07-08 03:00:00



5대 은행 가계부채가 나흘 새 2조2000억 원가량 증가했다. 올해 5, 6월 매달 5조 원 넘게 불면서 급증세를 보였는데 그보다 더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하반기(7∼12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더해 부동산, 주식 시장 과열 양상으로 빚내서 집과 주식을 사는 이른바 ‘영끌’ ‘빚투’가 되살아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7일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은행에 따르면 4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10조7558억 원으로 집계됐다. 6월 말(708조5723억 원)과 비교해 2조1835억 원 증가했다. 앞서 가계대출은 6월에만 5조3415억 원 늘면서 2021년 7월(6조2009억 원)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뛴 바 있다.

최근 가계대출 증가세는 코스피가 2년 5개월 만에 2,800 선을 회복하고, 서울 아파트값이 2년 9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을 보이는 등의 시장 분위기가 반영됐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진 상황에서 국내외 주식 시장 수익률이 제고되고 있고, 건축 자재비와 인건비 인상으로 인한 분양가 상승으로 주택 구입을 서두르는 사람이 늘어난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 증가분 절반이 주담대… 집값 자극 우려


[다시 불붙은 가계대출]
‘영끌-빚투’ 다시 꿈틀
신용대출도 나흘새 1조879억 급증
금융당국, DSR 확대 적용 검토

이달 들어 5대 은행 가계대출 증가분(2조1835억 원)의 절반가량은 주택담보대출(8387억 원)로 나타났다. 최근 주담대 증가세는 급격히 내려간 시장금리 때문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되며 주담대 금리를 산정하는 기준이 되는 은행채 금리가 하락했다. 이에 따라 지난달 일선 영업점에서 주담대 금리가 2%대까지 내려갔다.

이런 가운데 디딤돌·버팀목 대출 및 신생아 특례대출 조건 완화 등 정책자금 공급 활성화 정책과 2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실행 연기(7월→9월) 지침 등은 ‘빚내서 집 사라’는 신호로 비쳐 주택 구매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달 감소했던 신용대출도 나흘 새 1조879억 원 급증했다. 하지만 이는 2∼3일 이뤄진 게임업체 ‘시프트업’의 일반 투자자 대상 상장 공모 청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청약에 18조5000억 원 이상의 증거금이 몰렸는데 은행 신용대출로 자금을 조달했다는 것이다. 앞서 2021년 SK바이오사이언스 청약 당시에도 5대 은행 신용대출이 이틀 새 3조5471억 원 늘어난 바 있다.

국내외 증시 호조세도 영향을 미쳤다. 코스피가 오랜만에 2,800 선을 돌파한 4일,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5일(현지 시간) 고점을 돌파했다. 두 나라는 국내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주식 거래를 하는 국가다.

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 잔액이 급증한 것은 공모주 청약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으로 보이지만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을 다시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신호로 비칠 수도 있다”라면서도 “주담대만으론 부족한 주택자금을 충당하기 위해 쓰였을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급격한 가계부채 증가세를 꺾기 위해서는 DSR 적용 대상을 전세자금 대출뿐만 아니라 정책자금 대출, 중도금·이주비 대출 등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전세 대출이 전셋값을 올리고, 궁극적으로 집값을 올리고 있는 만큼 가계부채의 관리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둘러 DSR에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당국도 DSR 확대 적용을 검토하기 시작했다. 금융감독원은 3일 은행권에 전세대출과 정책 모기지, 중도금 등 모든 대출을 포함해 DSR을 산정해 달라고 주문했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DSR 적용 확대와 관련해서는 현재 입장에서 변함이 없다”라면서도 “최근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증가율 관점에서 가계부채 속도를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무경 기자 ye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