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는 모습(대통령실 제공). 2024.7.2/뉴스1 ⓒ News1
윤석열 대통령이 러시아를 향해 한국과 북한 가운데 한쪽을 선택할 것을 요구하자 러시아 크렘린궁은 이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 없다고 일축했다. 또한 북한을 ‘파트너’라고 표현하며 한러 관계가 경색된 책임을 우리 측에 떠넘겼다.
러시아 국영 타스 통신에 따르면 8일(현지시간) 드미트리 페스코프 크렘린궁 대변인은 윤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에 대한 논평 요청을 받자 “우리는 그러한 접근 방식에 반대하며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페스코프 대변인은 이어 “우리는 북한과 한국을 포함한 역내 모든 국가와 좋은 관계를 구축하는 데 찬성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평양이란 파트너가 있고 반(反)러 제재에 동참한 서울이란 국가가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이날 로이터 통신이 공개한 서면 인터뷰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은 한반도와 유럽의 평화와 안보에 뚜렷한 위협이자 중대한 도전을 제기한다”며 “향후 한국과의 관계는 러시아에 전적으로 달려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은 분명히 국제사회에 대한 위협”이라며 “러시아가 자국의 이익을 위해 남측과 북측 중 어느 쪽이 더 중요하고 필요한지 현명하게 결정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계속해서 유엔 결의안을 위반한다면 한러 관계에도 분명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지원을 단행할 것인지 묻는 말에는 “한국은 북·러 간 군사협력의 수준과 내용을 살펴볼 것”이라며 양국 군사협력에는 “무기 거래, 군사 기술 이전, 전략 물자 지원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답했다. 우리 정부는 지난달 20일 우크라이나에 살상 무기를 지원하지 않는다는 기존 방침을 재검토한다고 밝힌 바 있다.
러시아와 북한은 지난달 19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평양 방문을 계기로 양국 군사협력을 동맹에 준하는 수준으로 격상했다. 푸틴 대통령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와의 회담 이후 ‘유사시 상호 군사원조’를 골자로 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조약’에 서명했다. 북한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러시아에 탄도미사일과 포탄 등 재래식 무기를 지원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