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돌보고 우리 것 존중… 감동 자연 보살피는 것이란 뜻 새겨야” 정 조경가 “국토, 하늘이 만든 정원… 지자체가 훼손하는 걸 보면 눈물”
정영선 조경가(가운데)가 3일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학술행사 ‘정영선이 만든 땅을 읽다’에서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왼쪽), 배형민 서울시립대 건축학과 교수와 대담하고 있다. 환경과조경 제공
한국 조경 50년사를 대표하는 정영선 조경가(83)는 불과 지난해까지만 해도 일반 대중에게는 낯선 이름이었다. 이제는 다르다. 올 4월 국립현대미술관이 사상 처음으로 조경가의 역대 작업을 조망하는 전시를 시작했기 때문이다. 9월 22일까지 열리는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전시에는 요즘 하루 1200명 넘게 찾는다. 그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땅에 쓰는 시’도 개봉 3개월 만에 2만 명 넘는 관객이 관람했다. 국내의 친숙한 공간들이 ‘정영선 표 조경’으로 완성됐다는 사실이 널리 알려졌다.
국립현대미술관의 ‘정영선: 이 땅에 숨 쉬는 모든 것을 위하여’ 전시 전경. 이 전시는 9월 22일까지 열린다.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3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학술행사 ‘정영선이 만든 땅을 읽다’는 ‘정영선 현상’을 짚어 볼 수 있는 자리였다.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는 “시대정신을 품는 정영선의 서사는 기후 위기의 지구를 돌보고 우리 것을 존중한다는 점에서 공감을 넘어 감동을 준다”고 말했다.
배정한 서울대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교수
김아연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
김아연 서울시립대 조경학과 교수는 “정영선의 작업이 푸른 유산으로 남을 것인가 혹은 대한민국 조경 1세대의 예외적 사례로 기억될 것인가는 다음 세대의 실천에 달렸다”고 주장했다. 아무도 주목하지 않던 우리 자생식물들로 ‘눈물겹게 아름다운 풍경’을 만든 정영선과 달리 요즘 세대는 인스타그램을 겨냥한 풍경 만들기에 취해 있는 건 아닌지 돌아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현재 전국적인 정원 조성 사업에는 우리 땅에 대한 철학과 지구에 대한 위기의식이 빠져 있는 것 같다”며 “돌봄의 단어가 돼야 할 정원이 행정 단어로 변해 전 국토가 정원 테마파크로 변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박승진 디자인스튜디오 로사이 소장
전은정 조경포레 소장
후배 조경가들은 ‘정영선의 정신’을 이어받아 발전시키자는 발표를 했다. 박승진 디자인스튜디오 로사이 소장은 “미국 뉴욕 원다르마센터를 설계하러 함께 현장에 갔을 때 땅이 워낙 좋아 거의 건드리지 않고 길만 냈다”며 “풍경으로서의 땅 자체를 보존하는 것은 굉장한 결단이었다”고 평했다.
조용준 CA 소장
백규리 현대엔지니어링 건축조경팀 매니저
이호영 HLD 소장
조용준 CA 소장은 정제된 분위기의 선유도공원, 백규리 현대엔지니어링 건축조경팀 매니저는 대청마루와 숲속을 연상시키는 용산 아모레퍼시픽 사옥을 예로 들며 조경의 가치를 강조했다. 이호영 HLD 소장은 “‘정원은 자연을 보살피는 것’이라는 정영선 조경가의 뜻을 새겨 우리 생태를 치열하게 지켜 내야겠다”고 말했다.
정영선 조경가(가운데)가 조경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왼쪽), 배형민 서울시립대 건축학과 교수(오른쪽)와 대담하고 있다. 환경과조경 제공
정영선 조경가.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