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
17일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기준 악성 임대인 명단에 오른 127명 중 67명(52.8%)이 여전히 등록 임대사업자 자격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민간임대주택 사업자는 재산세 감면, 종합부동산세 계산시 과세표준 합산대상 배제, 임대주택 장기보유특별공제 등의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히 전세사기 사건이 많이 발생한 서울의 경우 악성 임대인 34명 중 25명(73.5%)이 임대사업자로 등록돼 있었다. 또 경기(54.1%)와 인천(52.9%)의 악성 임대인도 절반 이상이 임대사업자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
많은 악성 임대인들이 아직도 세제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은 등록 취소 기준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등록 말소 기준은 현행법상 임차인이 임차보증금 반환 소송에서 승소하거나,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의 조정 성립 후에도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만 한정하고 있다. 이에 전세사기 사건이 이어진 2021년부터 현재까지 보증금 미반환으로 임대사업자 등록이 말소된 사례는 7명에 불과하다.
한편 2022년 7월 25일부터 2024년 6월 2일까지 약 3년간 전국에서 전세사기로 발생한 피해금액은 2조3000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박정현 민주당 의원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에서 발생한 전세사기 피해금 규모는 2조2836억 원으로 집계됐다. 경찰이 검찰에 송치한 사건만을 집계한 것으로, 수사 중이거나 드러나지 않은 사건을 포함하면 피해 규모는 훨씬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구제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다수의 임차인이 보증금 반환을 받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임대인이 의도적으로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으려는 정황이 있는 경우 등 폭넓은 기준을 적용해 전세사기를 인정하고 있다. 정부가 집계한 전세사기 피해 건수는 1만8125건이다. 금액은 공개하지 않고 있다.